동양 시학의 관점을 바탕으로 근대 시론을 제시한 시인의 시론을 새롭게 해석한 책. 이 평론집에서 가장 중요하게 다루고 있는 것은 동양 시학의 관점에서 한국의 현대시를 해석하는 관점이다. 한국 근대 시론, 특히 모더니즘 시 이론을 동양 시학의 관점에서 파악하려는 시도는 이 평론집이 갖는 중요한 의미이다.
목차
책머리에
제1부 근대 시론과 동양 시학 ‘생장(生長)-하는’ 시학 1. 김기림 시론의 변화상 2. ‘감응(感應)-하는’ 관계 3. ‘생장(生長)-하는’ 시학 4. 「시론」의 시학 동양 시학과 생명 시론 1. 조지훈 시론의 행방 2. 동양 시학과의 관계성 3. 감성과 모성의 생명의식 동양 시학으로 본 김춘수의 무의미시 1. 무의미시와 관계의 ‘의미’ 2. 무의미시의 ‘다(多)’-양한 ‘의미’ 3. 시적 방법론의 ‘의미있는’ 해체 4. 조화와 화해의 세계로 돌아감 생태시와 국면의 전환 1. 생태학과 생태시 2. 생태시의 인식 3. 생태시를 넘어서 4. 생태시의 다양한 지평 5. 생태시의 근원 - 국면의 전환 욕망의 시대와 시적 대응 1. 욕망의 속성과 ‘-되기(becoming)' 2. '부드러운 억압‘과 욕망 통제 수단 3. 주체의 변화와 생명공동체 4. 욕망과 생태시의 층위
제2부 생명 시학의 근원 생태적 상상력과 겸허의 미덕 1. 응시 2. 동기감응하는 생태적 상상력 3. 겸허의 미덕 농촌의 서정과 현실 고통의 현상학과 시적 방법론 1. 시와 고통 2. 시적 주체의 고통 3. 시적 방법론 4. 시적 지평의 확장 인간 존재의 근원을 탐색하는 물질의 시학 1. ‘바람’과 ‘뼈’ - 시의 근원 2. 바람 - 체험의 근원 3. 뼈 - 기억의 편린 4. 일상을 통한 존재의 탐색 5. 물질의 시학 자아를 찾아가는 긴 여정 1. 존재의 시학 2. 고통과 슬픔의 극복 3. 모서리의 시학 4. 기교를 넘어서 기억의 파편 속에 부유하는 삶의 풍경들 1. 시적 존재의 귀향을 위한 사유 2. 어두운 기억 속에 놓인 존재의 탐문 3. 기억의 파편에 남아있는 삶의 풍경 4. 시적 상상력과 의식의 심화
제3부 상생의 시론 화음과 불협화음, 맹진(猛進)하는 시들 1. 다양한 목소리들 2. 화음과 불협화음, 다양한 변주 3. 맹진하는 시들 벼랑에 서서 희망을 보다 1. 벼랑의 시대 2. 원초적 생명의 세계 3. 시대에 맞서는 시들 4. 희망 찾기 사물에 대한 독특한 접근법 1. 사물의 형상화 2. 타자의 소리로 부르는 자아의 소리 3. 단절과 연속의 시적 방법 우울한 도시의 풍경과 근본을 향한 회귀 고통의 치유방식과 생명의 옹호 폐허된 도시와 연민의 시학 리얼리즘 시의 변화와 성숙 잃어버린 ‘오빠’를 찾아서 현실과 환상을 넘나드는 시적 상상력
서가브라우징
사건의 시학 : 감응하는 시와 예술 : 최진석 평론집 2022 / 지은이: 최진석 / b
감응의 시학 : 최현식 비평집2015 / 지은이: 최현식 / 케포이북스
한국 근대시의 형성과 '생명'의 탄생 : 숭고와 공동체를 둘러싼 시학적 탐색 = The formation of Korean modern poetry and the birth of 'life' : the poetic exploration surrounding sublimity and community2018 / 지음: 최호영 / 소명출판
시의 언어로 지은 집 : 감정이 선명해지고 생각이 깊어지는 표현력의 세계 2024 / 지음: 허서진 / 그래도봄
고전시가 사랑을 노래하다2010 / 황병익 지음 / 산지니
고전시가 사랑을 노래하다2010 / 황병익 지음 / 산지니
고전시가 시대를 노래하다2016 / 지은이: 황병익 / 역락
동양 시학과 시의 의미 = Oriental poetics and meaning of poem : 황선열 평론집2016 / 지은이: 황선열 / 케포이북스
말과 시간의 깊이2002 / 황현산 저 / 문학과지성사
우물에서 하늘 보기 : 황현산의 시 이야기2015 / 지음:황현산 / 삼인
추금 강위 평전 : 국제 정치의 막후에서 분주했던 불우 시인 2024 / 지음: 김진균 / 소명출판
가난한 사람들을 사랑한 시인 김남주2006 / 강대석 지음 / 작은씨앗
신라가요의 기반과 작품의 이해1998 / 반교어문학회 편 / 보고사
새로 읽는 향가문학1998 / 임기중 외 지음 / 아세아문화사
향가의 해석2000 / 신재홍 저 / 집문당
같이 빌린 책
실재의 언어 = The language of the real : 이도연 비평집2016 / 지은이: 이도연 / 케포이북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