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동서양의 세레나데와 우리 고전을 통해 사랑과 구애의 메커니즘을 살펴본다. 1장에서는 삼국과 고려시대, 조선시대의 사랑 이야기를 소개하고, 2장에서 고대시가 '황조가'를 분석한다. 3장에서는 짝을 얻기 위해 안달하는 동물의 본능을 언급하면서 동서양의 세레나데를 소개한다. 마지막 4장에서 소를 끌던 노인이 수로부인에게 꽃을 바치며 불렀다는 노래 '헌화가'를 집중 탐구한다.
목차
책을 펴내며
서문
제1장 한국의 고전문학과 사랑
1. 삼국과 고려시대의 사랑 이야기
2. 조선시대의 사랑 이야기
제2장 한나라 여인 치희를 향한 유리왕의 사랑 노래
1. 임금님의 사랑 노래에 대한 몇 가지 의문
2. 유리왕 왕비 송양녀松讓女와 유리왕의 사냥에 얽힌 이야기
3. <황조가>에 담긴 유리왕의 속마음은?
4. 인간적인 임금 유리왕의 사랑과 고독
제3장 연인의 마음을 얻기 위한 노래, <세레나데>
1. 짝을 얻기 위해 안달하는 동물의 본능
2. 연인에게 바치는 노래, <세레나데>란 무엇인가?
3. 동서양 세레나데에 담긴 마음은 무엇인가?
제4장 소를 끌던 노인이 수로부인水路夫人에게 꽃을 바치며 부른 노래
1. <헌화가>는 수로에게 바치는 노옹의 세레나데인가?
2. 수로부인 이야기의 앞과 뒤
3. <헌화가>가 지어진 성덕왕대의 시대 상황은 어떤가?
4. <헌화가>의 의미를 새롭게 풀가
5. 소 몰던 늙은이의 사랑과 희망
주석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