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저자 서문
발간사
서장 폐기물의 기초지식
0.1 폐기물의 정의
0.2 일반폐기물 현황
0.3 산업폐기물 현황
0.4 쓰레기 처리기술의 개요
0.5 제품 LCA와 쓰레기 처리
0.6 지구온난화와 쓰레기
0.7 폐기물과 국제조약
0.8 최종 처분장
0.9 쓰레기 자원화
0.10 순환형 사회의 법 체계
0.11 용기포장 리사이클
0.12 가전 리사이클
0.13 식품 리사이클
0.14 건설자재 리사이클
0.15 자동차 리사이클
제1장 쓰레기 소각 입문
1.1 쓰레기 소각의 목적
1.2 소각처리의 특징
1.3 소각시설의 개요
1.4 소각시설의 변천
1.5 소각방식의 종류
1.6 최근 소각시설의 변화
1.7 새로운 소각기술
1.8 폐기물 처리기술의 다양화
1.9 쓰레기 소각의 과제
제2장 국산 연료 - 쓰레기
2.1 폐기물질
2.2 쓰레기질의 분석
2.3 쓰레기질의 경향
2.4 폐기물의 조성
2.5 폐기물 발열량의 산출
2.6 RDF(쓰레기 연료)
2.7 연료화 기술
제3장 폐기물은 어떻게 태워지는가?
3.1 연소
3.2 연소공기량의 계산
3.3 공기비
3.4 연소가스량의 계산
3.5 실제 폐기물에서의 공기량, 가스량
3.6 1차 연소와 2차 연소
3.7 전통적 연소 : 스토커 로
3.8 유동상 로
3.9 연소의 총결산 : 열 적산
제4장 소각시설 만들기
4.1 지역계획의 책정
4.2 시설의 종류 · 규모
4.3 관련 설비 계획
4.4 계획 폐기물질
4.5 처리능력
4.6 열작감량
4.7 화격자 연소율
4.8 연소실 출구 온도
4.9 연소실 열 부하
4.10 환경 어세스먼트
4.11 위치선정과 적용 법규
4.12 환경보전대책 : 대기
4.13 환경보전대책 : 수질
제5장 폐기물 소각 시스템
5.1 계량기
5.2 플랫폼
5.3 투입문
5.4 폐기물 저장조
5.5 폐기물 크레인
5.6 폐기물 호퍼와 공급 장치
5.7 스토커의 기능
5.8 스토커의 종류
5.9 소각로 본체의 구조
5.10 내화물의 종류와 선정
5.11 연소용 공기계통
5.12 배기가스 계통
5.13 굴뚝
5.14 어드밴스형 스토커 로
5.15 자동연소제어[ACC]
제6장 흑선(黑船) 습격 - 불청객, 다이옥신
6.1 다이옥신류
6.2 다이옥신류의 발생량
6.3 다이옥신류의 발생 억제
6.4 다이옥신류의 제거
6.5 재 중의 다이옥신류
6.6 다이옥신류와 폐기물 소각
6.7 다이옥신류의 환경기준
6.8 다이옥신류 대책 특별조치법
6.9 다이옥신류와 작업환경
제7장 현대의 프로메테우스 - 불의 사냥꾼
7.1 보일러의 형식과 선정
7.2 보일러의 부식과 마모
7.3 보일러설비의 구성
7.4 보일러의 부속장치
7.5 보일러의 수처리설비
7.6 소각시설의 열 이용
7.7 쓰레기 발전의 현황
7.8 쓰레기 발전의 장래
7.9 쓰레기 발전의 계획
7.10 지금까지의 쓰레기 발전[저효율의 원인]
7.11 앞으로의 쓰레기 발전[효율의 향상 대책]
7.12 슈퍼 쓰레기 발전
7.13 연료추가와 리버닝[Reburning]
7.14 고온 · 고압 과열기 재료
7.15 증기터빈의 출력제어
제8장 무지개 저편에 - 배기가스처리
8.1 배기가스 처리기술의 변천
8.2 배기가스의 성상 : 매진
8.3 배기가스의 성상 : HCl, SOx, Hg
8.4 베기가스의 성상 : NOx
8.5 배기가스 처리시스템
8.6 집진기술
8.7 HCl, SOx 제거기술
8.8 NOx의 제거기술
8.9 배기가스 처리의 과제
제9장 소각시설의 분뇨 이야기 - 배수, 재(灰)
9.1 배수의 성상
9.2 배수 처리시스템
9.3 배수 중의 유해물질 제거
9.4 배수의 유효 이용
9.5 소각재 반출장치
9.6 매진의 처리
9.7 매진의 중간처리기술
9.8 소각찌꺼기의 용융고형화법
9.9 소각찌꺼기 용융로의 종류
9.10 슬래그 등의 이용
9.11 소각찌꺼기의 자원화
제10장 가스화 및 용융의 기술
10.1 가스화 용융의 기술
10.2 킬른식 가스화 용융로
10.3 유동상식 가스화 용융로
10.4 직접 용융로
10.5 메탄발효의 기술
10.6 메탄발효의 장치
10.7 바이오가스의 이용방법
쓰레기 소각기술 기본용어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