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일본, 더 나아가 전 세계에서 현대의 자유민주주의 체제가 갖고 있는 사회문제에 주목하는 책이다. 2012년 고단샤에서 출간된 책은 2013년 일본 신서대상 1위를 하며, 일본 내 인문학에 센세이션을 불러일으켰다.
목차
한국어판 출간에 부쳐
들어가며
제1장 우리 사회는 지금 어디에 있는가?
일본이 ‘공업화 사회’였던 시대
공업화 사회란?
탈공업화 사회
자유롭고 다양한 사회
청년은 행복지수가 높다
일본형 공업화 사회
기능부전에 빠진 일본형 공업화 사회
제2장 사회운동의 변천
공업화 초기의 사회운동
윤리주의와 전위당
새로운 사회운동
‘청년’과 ‘여성’
탈공업화 사회의 운동
리스크 사회
‘68년’과 탈공업화 사회
제3장민주주의란?
‘쥐 시집보내기’ 이야기
‘대표를 뽑는다’라는 것
제한선거의 논리
‘우리의 대표’
고대 그리스의 민주주의
‘모두 함께 어울림’의 중요성
토론의 의미
‘대표’와 ‘리프리젠테이션’
‘공’과 ‘사’
축제와 음악의 세계
왕·축제·시장
뒤르켐의 『자살론』
자기를 넘어서는 것
‘국가의 미래’와 ‘시장의 판정’
플라톤의 ‘이데아’
수학과 기하학
‘철인왕’ 교육 프로그램
‘수’와 ‘본질’
문답법
통치의 변천
법의 지배
‘대표’와 ‘왕’
공사의 역전
제4장 근대 자유민주주의와 그 한계
화약과 나침반
인쇄술과 성서
세계관의 변화
근대과학과 실험
전란의 시대
근대적 이성과 데카르트
수학과 근대적 주체
뉴턴과 연금술
수식으로 쓰인 본질의 운동
근대과학에 있어서의 공개와 대화
근대과학에서 정치사상으로
계약으로 사회를 만든다
‘민주주의의 원조’ 루소
애덤 스미스의 경제자유주의
벤담의 공리주의
현대의 자유민주주의
토크빌의 미국론
데모는 과연 민주주의의 파괴인가?
자유민주주의에 대한 비판
‘대표’와 ‘68년’
자유민주주의의 종언?
제5장 또 다른 세계를 향한 사색
‘이성을 행사하는 주체’에 대한 의심
하이젠베르크의 불확정성원리
‘안전기준’이라는 사고
후설의 현상학
개체론이 아니라 관계론
사회조사와 관측 데이터
구축주의
물화
변증법
관계와 운동 속에서 바뀌어간다
재귀적인 근대화
선택의 증대
재귀성이 증대한다
‘전통’도 만들어진다
왜 좌파와 우파 모두 한계에 처했나?
카테고리의 한계
보수주의의 역기능
원리주의
대화와 공개성
임파워먼트
엄벌주의는 역효과
유연안전성
기본보장은 효율적
보호에서 활성화로
자발적 결사의 활용
부메랑 효과
‘리스크’란?
아무것도 하지 않는 것보다 뭔가를 하는 것이 낫다
밑바닥에서부터 사회를 바꾼다
제6장 일본 사회문제의 상징, 원자력발전
자연재해로 문제가 드러나다
원전과 공업화 사회
원전 사고로 변화한 소련
원전을 떠받쳐온 보조금 시스템
전쟁에서 시작된 전력시장 통제
무책임한 체제
한계에 처한 원전 산업
원전 코스트
원전은 일본 사회가 안고 있는 문제의 상징
사회는 바뀌어가고 있다
제7장 전후 일본의 사회운동
일본 사회운동의 특징
전후 일본의 민주주의
일본의 특징에서 생겨나는 약점
윤리주의
1960년의 안보투쟁과 공동체
2,000만 명의 서명
‘무당파’가 없는 사회
전쟁의 체험과 기억
‘민주주의를 지키자’
소득배증계획으로 진정 국면
공동체의 약화
학생의 변화
대학 자치회와 신좌익
일본의 ‘섹트’
대학의 대중화에 대한 불만
지금까지 지녀온 의식과의 괴리
고도성장이 안겨주는 당혹감
공해와 주민운동
베트남 전쟁
‘전후 민주주의의 기만’
‘전학련’과 ‘전공투’
‘자유로운 운동’의 협소성
전공투 운동의 특징
섹트와 전공투
윤리주의의 폐해
연합적군 사건
1970년대에서 1980년대로
‘쇼와 시대 일본’의 확립
‘경제대국 일본’에 대한 비판
원전 반대운동의 역사
1980년대의 ‘탈원전 뉴웨이브’
‘3세대’에 들어선 전후 일본
‘후쿠시마 사태’ 이후
50년 만의 사태
‘자유’층의 확대
앞으로의 운동
제8장 사회를 바꾸려면
일본의 ‘국체’ 논란
현대에 있어서 ‘사회를 바꾼다’라는 의미는
현대일본의 ‘격차’의식
현대일본에서 ‘사회를 바꾼다’라는 의미는
‘좋은 간사’보다 ‘냄비요리’가 낫다
사회운동에 관한 다양한 이론
쟁점관심 사이클
정보의 2단 흐름과 ‘이노베이터’
프레이밍
구축주의와 주체형성
모럴 이코노미
어프로프리에이션
각각의 운동이론을 평가한다면
이론의 사용법
이론 사용법의 콘셉트
운동의 실례를 통해 살펴보다
국제 NGO
생활 클럽
미나마타병 소송
베평련
이렇게 하면 실패한다
개체론적이지 않은 운동
개체론적인 전략
즐거운 것과 즐거워 보이는 것
마치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