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장 세대의 정의
1. 머리말
2. 연령의 의미에 대한 다양한 논의들
3. 다의적인 시간 인식의 사회 변동론적 의미
4. 세대에 대한 생각의 그물들
5. 세대 현상에 대한 관점 : 객관주의와 구성주의
6. 생애를 통한 기회와 자원의 누적된 불평등
7. 세대 관계의 복합적 차원과 상호관계
2장 세대 갈등의 복합적 차원
1. 한국 사회의 발전주의
2. 가족, 경제, 문화, 정치 영역에서 세대 경험과 인식
1) 가족주의와 세대 관계
2) 세대 간 경제적 형평성을 둘러싼 갈등의 잠재적 가능성
3) 문화적 가치관, 정체성, 감성에서의 세대 간 차이와 갈등
4) 정치적 성향에서의 세대 차이와 세대 갈등
3. 세대 가치관 및 의식에 대한 설문조사
3장 가족, 세대 갈등의 뇌관인가 방파제인가?
1. 가족과 세대 갈등
2. 한국 가족의 변화
3. 세대 간 가치관의 차이와 세대 갈등
4. 만혼화와 세대 긴장
5. 가족 부양의 부담과 세대 긴장
1) 세대 간 부양 관계
2) 자녀 부양 의식과 세대 갈등
3) 노인 부양 의식과 세대 갈등
6. 맺음말
4장 동일한 우려, 양가적 시선 : 세대 간 경제적 갈등 구조 탐색
1. 경제적 세대 갈등의 조건
2. 경제적 세대 갈등의 담론
3. 경제현안 인식에서 세대 차이가 존재하는가?
1) 세대별 삶의 만족도와 불안
2) 청년층의 닫혀진 경제적 기회에 대한 모든 세대의 우려
4. 일자리 문제 인식에서 세대 간 긴장이 발견되는가?
1) 청년실업의 원인에 대한 인식 차이
2) 세대 간 일자리 형평성에 대한 태도 : 불안한 노동시장에 대한 혼란스러운 우려
5. 복지현안 인식에서 세대 간 긴장이 발견되는가?
1) 복지 확대에 대한 규범적 지지와 소극적인 책임 인식
2) 취약한 사회 연대의식
6. 맺음말 : 경제적 세대 갈등의 잠재적 조건들
5장 세대 갈등의 문화적 지형 : 현대 한국인의 심성 구조와 세대 차이
1. 세대 갈등의 문화적 차원
2. 세대 간 가치관의 분리 지점
1) 공동체 지향
2) 이익 지향
3) 다문화 지향
3. 차이에서 갈등으로
1) 세대 고정관념
2) 차이에 대응하는 양식
3) 취약한 연대감
4. 맺음말
1) 동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의 가치관의 혼란
2) 다문화 세대와 기성세대
6장 세대 간 정치적 대립의 복선
1. 정치적 세대 갈등의 의미
2. 청년세대의 새로운 정치
3. 다원화된 정치적 정체성
4. 세대 간 정치적 갈등의 복합적 맥락
5. 맺음말
7장 세대 소통, 가능성과 한계의 아포리아
1. 본 연구의 의의
2. 세대 간 편견 극복과 올바른 이해를 통한 세대 소통
1) 젊은 세대의 편견 극복 및 올바른 이해
2) 나이 든 세대의 올바른 이해 및 편견 극복
3. 세대 소통의 잠재력과 가능성 탐색
1) 젊은 세대의 세대 소통 가능성 및 잠재력 개발
2) 나이 든 세대의 세대 소통 및 화합의 가능성 및 잠재력 개발
4. 세대 소통을 위한 정책들 방안들
1) 만남 및 세대 소통을 조건 지우는 가족의 역할과 가족주의 극복
2) 세대 소통 및 화합을 조건 지우는 경제적 계층 격차 해소
3) 세대 갈등 극복 및 세대 화합의 정치와 문화 창조
▶참고문헌
▶부록표1 응답자의 기본특성
▶부록표2 20대가 그린 세대 이미지
▶세대 간 소통 및 화합 방안 마련 조사 설문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