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부 이론
제1장 현대 종교사회학의 전개와 새로운 패러다임 / 김성건
1. 들어가는 말
2. 사회학과 종교연구
3. 초기 사회학자들(마르크스, 베버, 뒤르켐)의 종교이론
1) 칼 마르크스(Karl Marx, 1818~1883)
2) 막스 베버(Max Weber, 1864~1920)
3) 에밀 뒤르켐(Émile Durkheim, 1858~1917)
4. 현대 종교사회학의 전개와 연구경향
1) 전개
2) 쟁점
3) 현재의 딜레마
4) 실질적 제안들
5. 새로운 패러다임의 출현과 전개
1) 종교사회학의 패러다임 위기와 스티븐 워너(Stephen Warner)의 1993년 논문
2) 합리적 선택이론의 주창자 로드니 스탁의 견해를 통해 본 새로운 패러다임
3) 종교사회학에서 새롭게 출현하고 있는 ‘스트롱 프로그램’
4) 방법론적 무신론에서 방법론적 불가지론 쪽으로 전환
5) ‘다중적(중층) 근대성’ 테제의 등장
6. 글로벌한 관점 속에서 종교연구의 필요성 : 결론을 대신하여
제2장 고전 다시 읽기 : 마르크스, 뒤르켐, 베버 / 박승길
1. 마르크스의 종교사회학적 유산
1) 마르크스의 생애와 독일현실 비판
2) 비종교적 비판으로서의 종교비판과 종교소멸론
2. 종교사회학의 기초자로서 뒤르켐
1) 뒤르켐의 종교적 여정과 사회학적 관점
2) 종교이해의 관점
3) 종교생활의 원초적 형태
3. 베버의 서구 합리주의의 해명과 종교사회학
1) 베버의 생애와 종교적 영향
2) 사회학자로서 베버의 문제의식
3) 종교사회학의 주제로서 종교적 합리화와 서구 합리주의의 문화적 의의
4. 고전읽기를 맺으며
제3장 세속화 / 최현종
1. 들어가는 말
2. 서구(유럽)사횡에 있어서의 세속화의 기원과 진행
3. 세속화의 다양한 측면들
4. 세속화를 야기하는 사회적 변화는 무엇인가?
5. 정통 세속화론자들의 입장
6. 국가별 유형의 차이 : 마틴(D. Martin)
7. 종교의 변형 Ⅰ : 개인적 종교
8. 세속화 일반이론에 대한 반론 Ⅰ : 시장이론
9. 세속화 일반이론에 대한 반론 Ⅱ : 공적 종교
10. 종교의 변형 Ⅱ : 시민종교
11. 논의를 마치며
제4장 합리적 선택이론 / 유광석
1. 들어가는 말
2. 합리성
3. 주요한 미시적 개념들
4. 종교적 수요와 공급
5. 비판과 재비판
6. 맺는 말
제2부 주요 연구주제
제5장 종교와 정치 / 정태식
1. 들어가는 말
2. 종교개혁에서 나타난 정치와 종교의 관계
1) 루터의 정치권력 승인과 종교의 정치에의 예속
2) 재침례파의 정치와의 결별과 대립
3) 칼뱅의 배타적 신정정치
4) 영국 청교도혁명과 구원귀족
3. 미국의 정치와 종교
1) 국가건설과 정교분리의 제도화
2) 근본주의의 등장과 애국주의와의 결합
3) 신기독교우익과 정치우익의 동맹
4) 9·11과 미국 패권주의의 신성화
4. 조선과 중국의 천주교 박해과정과 근대 한국사회에서의 정치와 종교
1) 조선과 중국에서의 천주교 박해와 정치-종교 관계
2) 근대 한국사회에서 나타난 정치와 종교와의 관계
5. 나가는 말
제6장 종교와 대중문화 / 전명수
1. 종교와 대중문화의 관계 유형과 이론
1) 종교와 대중문화의 관계 개관
2) 종교와 대중문화의 관계 유형과 내용
3) 종교 속의 대중문화
4) 종교와 대중문화의 갈등
2. 대중문화 속의 종교 : 영화와 서적
1) 종교영화
2) 종교서적
3. 대중문화로서의 종교 : 뉴에이지 운동
1) 뉴에이지의 개념
2) 뉴에이지, 대중문화로서의 (대체)종교
4. 종교로서의 대중문화 : 스포츠종교
1) 대중문화에서 종교찾기
2) 스포츠종교(sport religion)
제7장 인터넷과 종교 / 박수호
1. 들어가는 말
2. 정보사회와 종교
1) 사이버공간의 종교성 탐구
2) 종교조직의 인터넷 활용
3) 정보사회, 인터넷과 종교변화의 전망
3. 인터넷 종교생활의 실제
4. 인터넷 종교생활과 사회갈등
5. 인터넷 종교생활의 함의
제8장 영성사회학 / 송재룡
1. 머리말
2. 탈근대사회의 실존과 ‘영성적 전환’
3. 영성의 개념 : 종교와의 비교
4. ‘영성사회학’ 테제-쟁점과 가능성 및 한계
1) 영성의 ‘사회적 참여성’ 또는 ‘참여적 영성’ 개념과 관련해
2) 영성의 종교 대체 또는 변용 가능성과 관련해
3) 한계 또는 문제점
5. 맺음말
제9장 종교와 세계화 : 문화적 측면 / 장형철
1. 세계화 정의하기
2. 세계화의 두 뿌리
3. 종교와 세계화 : 동질화, 이질화 그리고 다양성
4. 세계화로 인한 문화적 혼성화와 종교
5. 나오는 말
제10장 한국의 종교지형 / 김철수
1. 한국사회의 다종교 상황
2. 한국사회 종교지형의 역사적 변화와 그 특성
1) 해방 이후 제1공화국까지 종교지형
2) 박정희와 제3,4공화국의 종교지형
3) 제5공화국과 군사정권 시기의 종교지형
4) 문민정부 이후 1990년대의 종교지형
3. 21세기 한국종교와 종교지형의 특성
4. 과제와 전망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