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인문학을 세계적 수준으로 끌어올린 학인, 김우창 교수의 최신작. 저자가 평생 학문의 주제로 견지한 반성적 사유와 성찰적 지혜가 마침내 닿은 곳은 바로 ‘깊은 마음의 생태학’이다. 인간중심주의를 넘어서는 전혀 새로운 인문학-생태인문학을 탄생시켰다.
머리글
1부 깊은 마음의 생태학 1장 확신과 성찰 1 서언 2 신념과 관습 3 의례와 이성의 양의성 4 형성적 통일 2장 이성의 방법과 서사 1 데카르트의 방법과 삶 2 데카르트의 실천 철학 3 이성의 삶 3장 삶의 지혜 1 심정적 윤리와 사회 2 프로네시스와 이성 3 합리성과 숨은 이성 4 이성과 가치 4장 성찰, 시각, 실존 1 정의와 이성 2 문학과 사회 그리고 개인 3 존재론적 이성 5장 해체와 이성 1 시에 있어서의 해체와 형성 2 사유에 있어서의 해체와 형성 6장 직선의 사고와 공간의 사고 1 깨우침과 일상 2 심미적 관조와 현실 세계 7장 산에 대한 명상 1 산의 지각 2 산의 의미 8장 진리의 길: 부정과 긍정 1 방법적 부정과 부정의 체험 2 실존의 모험 3 부정의 체험-몽테뉴 등 4 부정의 체험-퇴계 등 5 대긍정 6 과정 속의 이성
2부 인간중심주의를 넘어서 1장 진화와 인간: 혼돈의 가장자리 1 이미지 2 사회생물학적 유추 3 진화론과 이데올로기 4 필연성과 예측 불가능성 5 시간의 원근법과 관찰범위 6 카오스, 공진화, 메타다이내믹스 7 가치, 사실, 과학 이데올로기 8 존재의 열림 9 큰 마음 2장 진실, 도덕, 정치 1 사물과 시 2 물질적·사회적 쓸모 3 도덕 4 정치 5 정치와 사고의 유연성3 6 역사 7 보편성과 실존적 균형 8 문학의 진실과 보편성 3장 삶의 공간에 대하여 1 삶의 질서 2 좋은 삶과 작은 공간 3 큰 삶과 작은 삶 4 나날의 성실 5 상호의존성 6 문명화 과정 7 예(禮)의 강제성 8 평정된 일상 4장 깊은 마음의 생태학 1 제도와 마음 2 깊이의 생태학 3 세계와실존의깊이 4 건축과 도시의 깊이/ 깊은 공간 5 생각의 깊이/ 마음의 여러 작용 5장 사람을 안다는 것에 대하여 1 다른 삶에 대한 호기심 2 아는 것, 모르는 것, 믿는 것 3 무한한 무상성
너는 누구냐? : 마음의 끝에 서서 눈을 들어라2014 / 김건웅 강의 / 슈하인터내셔널
너는 누구냐? : 마음의 끝에 서서 눈을 들어라2014 / 김건웅 강의 / 슈하인터내셔널
문화적 인간학 : 인간을 이해하는 15가지 개념2017 / 지음:김길웅 / 아카넷
인간다움 = On humanness : 인간다운 삶을 지탱하는 3가지 기준 2023 / 지음: 김기현 / 21세기북스(북이십일 21세기북스)
인간다움 = On humanness : 인간다운 삶을 지탱하는 3가지 기준 2023 / 지음: 김기현 / 21세기북스(북이십일 21세기북스)
자아, 친숙한 이방인2017 / 지은이: 김석 / 은행나무
자아, 친숙한 이방인2017 / 지은이: 김석 / 은행나무
깊은 마음의 생태학 = (An) ecology of deep mind : 인간중심주의를 넘어서2014 / 지은이: 김우창 / 김영사
인공지능의 시대, 인간을 다시 묻다 = Réunion de philosophic et science : 철학과 과학을 넘나드는 사고력 강의2017 / 지음: 김재인 / 동아시아
인공지능의 시대, 인간을 다시 묻다 = Réunion de philosophic et science : 철학과 과학을 넘나드는 사고력 강의2017 / 지음: 김재인 / 동아시아
AI 빅뱅: 생성 인공지능과 인문학 르네상스2023 / 지음: 김재인 / 동아시아
AI 빅뱅: 생성 인공지능과 인문학 르네상스2023 / 지음: 김재인 / 동아시아
인간은 아직 좌절하지 마 : [청소년] : 인공 지능이 흉내 낼 수 없는 인간다움에 대하여 2024 / 지음: 김재인 / 우리학교
안다는 것과 사랑한다는 것 : 행복한 삶을 위한 인문학2010 / 김종엽 지음 / god`s Toy
나는 누구인가? : 현대 물리학에서 알려주는 깨달음의 세계2016 / 지은이: 김준걸 / k-Books(케이북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