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한국신종교의 사상과 종교문화를 밝히기 위한 작업으로 동학(東學, 天道敎), 증산교(甑山敎), 대종교(大倧敎), 원불교(圓佛敎) 등 4개의 대표적인 한국신종교를 중심으로 역사적 배경과 사상, 종교문화 등 세부적인 주제를 설정하여 조명하였다.
목차
1부 근대 한국사회와 한국신종교의 발생
제1장 서론
1. 근대 한국의 급격한 사회변동과 새로운 종교운동
2. 한국신종교의 시대정신과 독창적 가치
3. 선행연구에 대한 검토와 연구방법
제2장 한국 근세사 사회적 배경과 사조의 변화
1. 조선 후기 개방정책의 변화와 사회적 배경
2. 유교의 통치이념 변화와 실학운동
3. 서학(西學, 기독교)의 전래와 서구문화의 수용
4. 서학에 대한 한국신종교의 대응
제3장 한국신종교 창시자들의 종교체험과 교단형성
1. 수운 최제우의 종교체험과 교단형성
2. 증산(甑山) 강일순(姜一淳)의 종교체험과 교단형성
3. 홍암의 종교체험과 교단형성
4. 소태산의 종교체험과 교단형성
2부 한국신종교의 사상적 특징
제4장 천도교의 중심사상- “사람이 곧 하늘(人乃天)”
1. 수운의 시천주(侍天主)사상
2. 수심정기(守心正氣)의 수행
제5장 증산교의 중심사상-상제 신앙과 해원상생
1. 증산교의 증산상제 신앙
2. 해원상생(解冤相生)사상
제6장 대종교의 중심사상-단군중심의 삼신일체(三神一體) 신앙
1. 홍암의 단군 이전 환인․환웅에 대한 인식
2. 환인․환웅․단군 호칭의 재해석
3. 삼신일체(三神一體) 신앙의 체계화
제7장 원불교의 중심사상-일원상(一圓相)의 진리와 사은(四恩)사상
1. 일원상(一圓相)의 진리
2. 사은(四恩)과 보은(報恩) 실천
제8장 수운(水雲), 증산(甑山), 홍암(弘巖), 소태산(少太山)의 대외인식-일본관을 중심으로
1. 수운의 적대적 일본관
2. 증산의 우호적 일본관
3. 홍암의 일본관과 정교분리
4. 소태산의 강약(强弱)진화적 일본관
3부 한국신종교의 개벽사상과 이상적 세계관
제9장 수운의 개벽사상과 이상적 세계관
1. 수운의 ‘다시 개벽’사상
2. 수운의 이상적 세계관-대망(大望) 신앙과 지상천국(地上天國)
제10장 증산의 개벽사상과 이상적 세계관
1. 증산의 개벽사상
2. 증산의 이상적 세계관-선경(仙境)의 조화(調和)적 세계
제11장 홍암의 개벽사상과 이상적 세계관
1. 홍암(弘巖)의 중광(重光)사상
2. 홍암의 이상적 세계관-이화세계(理化世界) 홍익인간(弘益人間)
제12장 소태산의 개벽사상과 이상적 세계관
1. 소태산의 개벽사상
2. 소태산의 이상적 세계관-참낙원과 조화의 문명세계
4부 한국신종교의 종교문화와 의례
제13장 한국신종교의 신화․상징․의례 체계 비교연구
1. 한국신종교 의례의 정의, 범주, 신화적 요소
2. 신종교의례에 나타난 성속(聖俗)의 상징체계-천(天)․인(人) 또는 신(神)․인(人)의 관계를 중심으로
3. 신종교의례에 나타난 사회 변혁의 상징성
제14장 천도교, 증산교, 대종교, 원불교의 통과의례
1. 천도교, 증산교, 대종교, 원불교의 통과의례 구성과 과정
2. 통과의례에 나타난 사상적 특징
제15장 대종교의 제천(祭天)의례
1. 대종교의 단군신화 수용과 전승
2. 대종교 제천의례 체계-선의식(䄠儀式)
제16장 원불교의 종교의례-법인(法認)기도(혈인(血印)기도)
1. 법인(法認)기도의 역사적 전개와 진행방식
2. 법인기도의 상징체계
5부 한국신종교의 사회참여운동
제17장 일제치하의 신문화운동
1. 일제치하 신문화 운동사 개관
2. 천도교의 신문화운동
3. 증산교․대종교․원불교의 신문화운동
제18장 근현대 정치와 종교의 상관적 관계
1. 일제치하의 정치와 종교의 관계
2. 해방 후 미군정과 이승만 정권의 정교분리정책
3. 군사정권하의 정교분리정책
4. 민주화정권하의 정교분리정책
제19장 남북 종교교류와 한반도 평화를 위한 실천운동
1. 북한의 종교정책 변화
2. 남북한 종교교류의 성찰
3. 남북한 관계개선을 위한 종교계의 역할
제20장 원불교 사회참여운동의 전개양상과 과제
1. 원불교의 개교정신과 사회참여
2. 원불교의 사회참여운동의 전개양상
3. 원불교 시민운동의 평가와 과제
제21장 종교협력운동의 세계적 동향과 과제
1. 국제적 종교 간 대화협력운동의 전개
2. 종교다원주의와 종교 간 대화
3. 종교협력운동의 세계보편윤리 구상
4. 국제 종교연합운동의 실천적 과제-한반도 평화 실현의 공동 노력
결어: 조화의 문명세계를 위한 종교의 역할
참고문헌(Bibliography)
찾아보기(Inde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