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장 노년담론의 문학적 성찰 노년담론의 소설적 형상화 / 송명희 - 박완서의「마른 꽃」을 중심으로 Ⅰ. 노년에 대한 새로운 가치의 정립이 필요하다 Ⅱ. 타자화되어가는 노년 Ⅲ. 결론 김훈 소설에 나타난 몸담론 / 송명희 - 「화장」을 중심으로 Ⅰ. 서론- 포스트모더니즘과 몸담론 Ⅱ. 「화장」에 나타난 몸담론 Ⅲ. 결론 주류사회에서 아웃사이더의 정체성 찾기 / 송명희 - 이창래의 「제스처 라이프」를 중심으로 Ⅰ. 서론 Ⅱ. 페르조나로서의 삶에 대한 회의 Ⅲ. 아니마로서의 여성 - 메리 번즈, 서니, 그리고 K(끝애) Ⅳ. 주류사회에서 아웃사이더의 정체성 찾기 Ⅴ. 결론
제2장 노녀담론의 사회인문학적 성찰 노인 어휘망에 나타난 '늙음'의 의미분석에 따른 새로운 노년인식 / 채영희 Ⅰ. 머리말 Ⅱ. 말뭉치 자료에 나타난 노인의 대한 수식어 양상 Ⅲ. 우리말과 외국의 노인 호칭어를 통해 본 노년인식 Ⅳ. '늙음'과 '낡음'의 관계 Ⅴ. 노년을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의 필요성 의료와 미디어 산업의 노년담론 비판 / 한혜경 - 젊음의 연장이 아닌 노년의 복원 Ⅰ. 문제 제기 Ⅱ. 의료 산업의 관리대상으로서 노년 Ⅲ. 미디어 세계 속의 노년 Ⅳ. 결론 : 주체적 삶의 과정으로서 노년의 재구성
제3장 노년담론의 역사·철학적 성찰 노인, 인류의 진화를 인도하다 / 강인욱 Ⅰ. Lucy in the sky with diamonds Ⅱ. 유인원에게 노인이란 의미는? Ⅲ. 두 발로 걷는 업보 Ⅳ. 고려장, 그 검증되지 않은 신화 Ⅴ. 늙은 말에 길을 물어라 『대학공의(大學公議)』를 통한 본 다산 정약용의 노년담론 / 신명호 Ⅰ. 머리말 Ⅱ. 고려말『대학장구』의 수용과 노년담론 Ⅲ. 다산의 『대학공의』저술과 노년담론 인간 도리의 근원, 공자의 효사상 장세호 Ⅰ. 서언 Ⅱ. 종법 Ⅲ. 인학(仁學) Ⅳ. 효 Ⅴ. 결어
참고문헌 찾아보기
서가브라우징
선배시민 : 시민으로 당당하게 늙어가기 2022 / 지음: 유범상, 유해숙 / 마북
우리는 선배시민의 길을 만든다2023 / [공]지음: 유범상, 중원노인종합복지관 사회복지사들 / 마북
나는 액티브 시니어다: 나이 들어도 할 수 있는 슬기로운 직업 생활2021 / 지음: 윤석윤 / 북바이북
21세기 노년 2024 / 지음: 이로미 , 권승태 [공] / 지식의날개
노년의 탄생2009 / 이재규 지음 / 사과나무
시작하라, 멋진 노년을! : 노춘서곡 12장2011 / 이형 지음 / 글누림 출판사
시작하라, 멋진 노년을! : 노춘서곡 12장2011 / 이형 지음 / 글누림 출판사
인문학자, 노년을 성찰하다 = Humanistic introspection on the aged2013 / 송명희, 채영희, 한혜경, 강인욱, 신명호, 장세호 지음 / 푸른사상사
노년 공감 : 청춘과 함께 오늘을 살아가고, 내일을 꿈꾸는 우리 시대 노년의 굿라이프2018 / 지음: 최현숙, 정윤수, 이근후 / 정한책방
할배의 탄생 : 어르신과 꼰대 사이, 가난한 남성성의 시원을 찾아2016 / 지음: 최현숙 / 이매진
나이 듦을 배우다 : 젠더, 문화, 노화2016 / 마거릿 크룩섕크 지음 ; 이경미 옮김 / 동녘
나이 듦을 배우다 : 젠더, 문화, 노화2016 / 마거릿 크룩섕크 지음 ; 이경미 옮김 / 동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