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아랍 사회의 급격한 변화와 그로 인한 문제들, 국제사회와의 관계를 진단한 책으로, 한국 경제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해 온 아랍 지역이 현재 어떠한 변화를, 왜 겪고 있으며 향후 어떻게 될 것인지를, 명쾌하게 확인할 수 있다.
목차
발간사
편집자 서문
혁명의 시작점, 튀니지의 미래 / 김효정
1. ‘먹고 살기 위한’ 몸부림, 혁명의 시작
2. 독재 정권의 필살기(必殺技): 종교 세력의 퇴출, 우민화 정책
3. 프랑스와 튀니지의 밀월관계: 공생(共生)을 위한 독재 정권의 묵인
4. 변화된 사회에 대한 열망: 젊은층과 여성의 부상(浮上)
5. 혁명의 진화: 빵과 민주주의의 열망이 젠더의 갈등으로
6. 종교적 보수 vs 세속적 진보: 튀니지 사회는 어디로 갈 것인가?
새로 태어나는 아랍의 최대 정치·문화 대국 이집트 / 서정민
1. 이집트 개요
2. 장기집권, 부패, 생활고에 대한 저항
3. 2011년 이집트 정치 변동의 성격과 특성
4. 향후 과제: 이집트 사태는 진행 중
무슬림형제단 / 황병하
1. 격변기에 찾아온 새로운 기회
2. 반나와 무슬림형제단
3. 나세르 체제 하의 무슬림형제단
4. 사다트 체제 하의 무슬림형제단
5. 무바라크 체제 하의 무슬림형제단
6. 무슬림형제단과 자유정의당(FJP)
민주화를 향한 새로운 지평, 예멘 / 홍성민
1. ‘대(對)테러전쟁’ 끝자락 예멘
2. 남북 예멘 통일과 근대화
3. 예멘의 부족주의와 예멘인
4. 예멘의 권력 구조와 민주화 운동
5. 예멘 민주화 운동의 파장과 신세계 질서
가다피의 나라 리비아, 정치사회 변동과 새로운 정치경제 체제 / 정상률
1. 리비아, 어떤 나라인가?
2. 무혈 군사 쿠데타로 집권한 27세의 가다피
3. 가다피, 샤리아 기반의 자마히리야(Jamahiriya)를 꿈꾸다
4. 리비아 내적 갈등 요인: 부족 세력과 정치이슬람 세력
5. 국제 하이에나에 둘러싸인 리비아
6. 비극적 최후 맞은 가다피, 리비아의 미래는?
종파 간 내전의 혼란 속으로 빠져든 시리아 / 안정국
1. 시리아라는 나라
2. 시리아 시위의 원인
3. 알라위파의 집권과 종파 갈등
4. 일장춘몽‘다마스쿠스의 봄’, 민주화 시위, 그리고 내전
5. 시리아 사태를 둘러싼 국제사회의 이해관계
6. 시리아 사태 향후 전망
팔레스타인의 유엔 가입 추진과 이스라엘의 대응 / 최영철
1. 중동 평화 과정과 팔레스타인의 유엔 가입 신청, 그리고 이스라엘
2. 이-팔 분쟁과 팔레스타인 독립 국가 선언의 배경
3. 오바마 행정부와 이-팔 평화정책
4. 국가 승인 이론과 팔레스타인 국가 승인 문제
5. 팔 자치정부의 국가 건설 프로그램과 경제적인 요인
6. 팔레스타인의 유엔 가입 추진과 이스라엘의 대응
남수단 독립 / 김종도
1. 수단(남수단-북수단), 어떤 나라인가?
2. 수단 약사
3. 수단의 분쟁과 내전
4. 남은 과제
5. 남수단 외교 강화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