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Ⅰ 들어가며
Ⅱ 문학·철학·과학 공유의 처소
근원의 의미 ... 일탈과 합일의 패러독스
Ⅲ 과학 이론의 문학적 원용
가. 현상과 표층의 위가(位價)
1. 정보와 생태의 고리 ... 돈 드릴로의 『언더월드』와 『백색 소음』
2. 소음과 상투어의 진가 ... 도널드 바셀미의 『백설공주』와 『60편의 이야기』
나. 엔트로피와 불확정성 이론의 엮임
1. 미답의 언어 유희 ... 토마스 핀천의 『49호 품목의 외침』과 『브이』
2. 차이의 본질 ... 존 바드의 『어떤 선원의 마지막 항해』
다. 소용돌이와 균형
1. 단순과 복잡의 유희 ... 도리스 레싱의 『황금 노트북』
2. 무질서 속의 질서 ... 존 혹스의 『희화화』
라. 본태와 이미지의 교류
1. 마음과 몸의 구상화 ... 윌리엄 깁슨의 『뉴로맨서』
2. 휴먼/포스트휴먼의 동형이질 ... 리처드 파워즈의 『갈라테아 2.2』
마. 신경망의 모델과 포스트 다위니즘
1. 인지와 사유의 통합 ... 리처드 파워즈의 『황금벌레 변주곡』
2. 환경과 인물의 상호의존 ... 데이빗 포스트 월러스의 『끝없는 농담』
바. 양자역학과 영자이론의 실제
1. 칸토르 세트 이론 ... 토마스 핀천의 『브이』
2. 감추어진 변이이론과 상보성이론의 세계 ... 토마스 핀천의 『중력의 무지개』
사. 우주의 본태와 (초)끈이론
이중 대칭과 블랙홀 .. 에드가 알란 포의 『난트컷 섬의 아더 고든 핌 소년의 이야기』
아. 원전으로서의 소음과 번역의 관계
원전과 번역력(translatability)의 고리
자. 초끈이론의 지역이동과 인문사회학의 번역개념의 교차
Ⅳ 나가며
문학과 과학의 넘나듦 ... 메니피언 풍자의 양식
■ 참고문헌
■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