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4강 실사의 활용 一. 명사가 동사로 활용되는 경우 二. 수사, 대사가 동사로 활용되는 경우 三. 형용사가 동사로 활용되는 경우 四. 명사, 동사, 형용사와 수사가 사역동사(使役動詞)로 쓰이는 경우 五. 명사, 형용사가 의동사(意動詞)로 쓰이는 경우
제5강 수량(數量)의 표시 一. 수(數)의 표현법 二. 양(量)의 표현법 三. 수사(數詞)와 양사(量詞) 결합의 표현 방식
제6강 대사의 운용 一. 인칭대사 二. 지시대사 三. 의문대사(疑問代詞)
제7강 여러 가지 허사(虛詞) 一. 허자(虛字)에 대한 종합 서술 二. 허자(虛字)의 요점 설명
맺음말. 고대한어 어법학습, 교학과 연구방향 一. 고대한어 문언문과 고백화 두 가지 지류 및 그 특징에 대한 고려 二. 문언문과 고백화의 역사적 지위 및 연구의 전체성에 대한 명확한 이해 三. 어법의 공시적(共時的) 연구와 통시적(通時的) 연구의 상호 결합 四. 어법연구와 어휘(語彙), 어음(語音)과 문자(文字)연구의 상호 협력 五. 언어자료에 대한 작업 강화와 학과(學料)방법론 통제 六. 고대한어 어법체계 임시 추측 가능성 확보
부록. 고대한어 어법연구의 세가지 논점 一. 어법연구의 네 개의 평면 二. 어법연구의 어휘연구와의 상호 협력 三. 고대한어 어법학의 이론 설정
(5시간 만에 끝내는) 중국어 기초문법2010 / 박상용 지음 ; 조양순 그림 / 로코코북
(5시간 만에 끝내는) 중국어 기초문법2010 / 박상용 지음 ; 조양순 그림 / 로코코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