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화보] 한설야 문학
책을 내면서 : 한설야를 위한 변명
북조선 문학의 난제, 한설야의 「개선」론
1. 김일성의 첫 등장
2. 한설야의 「개선」의 위상과 개작
3. 김일성의 개선과 김일성 형상의 부조화
4. 북조선 문학의 난제
김일성의 항일무장투쟁, 한설야의 「혈로」론
1. 한설야의 문제작 「혈로」 재론
2. 한설야의 「혈로」 분석과 역사 인식
3. 한설야의 김일성의 항일무장투쟁 인식
4. 북조선 지식인의 항일무장투쟁 인식
해방기 소련 인식, 한설야의 「모자」론
1. 한설야의 문제작 「모자」 재론
2. 한설야의 「모자」의 개작과 소련 인식의 변화
3. 북조선 지식인의 소련에 대한 인식의 실상
북조선 정전, 한설야의 「승냥이」론
1. 한설야의 문제작 「승냥이」 재론
2. 한설야의 「승냥이」의 분석
3. 한설야의 「승냥이」의 발견과 재발견
4. 한설야의 「승냥이」의 역사화
북조선의 역사와 자주성의 욕망, 한설야의 『력사』론
1. 김일성의 항일무장투쟁
2. 한설야의 『력사』 창작과 평가
3. 김일성과 항일무장투쟁의 형상화
4. 북조선의 역사와 자주성의 욕망
북조선 문학과 개작, 한설야의 「혈로」 개작론
1. 북조선 문학연구와 개작 문제
2. 한설야의 「혈로」 분석과 비교
3. 한설야의 「혈로」 판본의 개작
4. 북조선 문학과 개작의 문제성
냉전 체제의 ‘미제’, 한설야의 「승냥이」 각색론
1. 북조선 문학에서 ‘아메리카’의 표상
2. 단편소설에서 희곡으로의 각색
3. 희곡의 개작과 시나리오의 각색
4. 「승냥이」 작품군에 대한 단상
‘조국해방전쟁’기 한설야의 『대동강』 창작과 개작론
1. 한설야의 문제작 『대동강』 재론
2. 한설야 『대동강』의 창작과 판본
3. 한설야의 『대동강』의 개작과 평가
4. 한설야의 『대동강』의 평가의 추이
문학과 정치, 한설야의 『력사』 개작론
1. 한설야의 『력사』의 연구
2. 한설야의 『력사』의 판본과 개작
3. 한설야의 『력사』의 평가와 문제점
4. ‘문학과 정치’에 대한 단상
[부록] 한설야의 보고
전국 작가 예술가 대회에서 진술한 한설야 위원장의 보고
전후 조선 문학의 현 상태와 전망 : 제2차 조선 작가 대회에서 한 한설야 위원장의 보고
1. 서론
2. 문학의 레닌적 원칙을 위한 투쟁
3. 전후 조선 문학의 특징
4. 생활의 진실을 반영하자
5. 작품의 문제성에 대하여
6. 동맹 지도 사업 개선에 대한 몇 가지 제안
천리마 시대의 문학 예술 창조를 위하여 : 조선 문학 예술 총 동맹 결성 대회에서 한 한설야 동지의 보고
[원문 출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