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한류, 특히 서유럽에서의 한류의 어제와 오늘을 생생하게 보여주고, 그 너머의 정경을 폭넓게 묘사하면서 한류를 다각도로 살펴볼 수 있는 이론적 틀을 제시함으로써 앞으로 한류가 나아가야 할 방향 또한 담담하게 보여준다.
목차
이 책을 시작하며
제1부 세계 속의 한류
제1장 전 세계적 미디어정경의 변화
1. 인터넷과 디지털 시대에 대중문화에 대해 논의하기
2. 동아시아 정체성 중심의 한류논의에서 벗어나기
3. 서구 중심의 프로그램 논의에서 벗어나기
4. 북미 중심의 컨버전스 문화산업/연구 논의에서 벗어나기
제2장 동아시아의 문화정체성 문제
1. 세계의 지역 문화정체성 논의들 : 유럽과 남미의 사례
2. 지역 문화정체성 논의에서 미디어의 문제
3. 할리우드 영화 속 아시아인의 재현
4. 한류 스타의 혼종성
제3장 동아시아의 컨버전스 문화
1. 컨버전스의 문화적 논리
2. 초국적 만화문화
3. 문화산업의 자산, 아이돌
제2부 한류 속의 세계
제4장 세계 속 한류 소통의 하부구조
1. 디지털 혁명과 새로운 문화 역학 : 전 지구적 팬문화의 하부구조
2. 아시아 이민과 ‘환태평양’ 효과
3.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의 현장, 팬서빙
4. 팬문화와 미디어 경제의 모순
5. 프랑스의 한류 팬 연구
제5장 문화실천으로서의 한류
1. 문화실천에 대한 이론들 : 부르디외 문화사회학의 한계
2. 프랑스의 한류 팬 세대론
3. 베데 세대의 일본만화 수용에서 한국 드라마 팬 형성까지
4. 만화, 드라마, 케이팝 : 매체와 팬덤의 특성
5. 미국 드라마와 동아시아 드라마 : 위계에서 취향으로
6. 한국 드라마 즐기기
제6장 한국 드라마와 동아시아의 현대
1. 드라마와 현대 사회
2. 한국 드라마의 로맨틱 환상
3. 동아시아적 인간관계
4. 동아시아, 꿈의 소비사회
제7장 아이돌, 젠더, 디지털 스코포필리어
1. 한류와 한류 팬덤의 여성성
2. 꽃미남 담론과 여성 팬
3. 서구 드라마 팬의 아이돌 담론 수용
4. 디지털 시대의 시각적 쾌락
5. 새로운 아시아 남성성? 또는 네오 오리엔탈리즘?
6. 미디어와 젠더 연구의 함의
제8장 케이팝의 가능성과 한계
1. 가설들
2. 보이밴드, 아이돌, 청소년 문화
3. 케이팝과 아이돌 : 다문화와 혼종성에 대한 갈망
4. 다양성의 문화로 : 싸이와 「강남스타일」의 교훈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