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가 고전시가를 가르치면서 고민했던 문제들을 ‘시공간적 거리감’, ‘전유’, ‘정서’라는 세 개의 키워드로 집약하고, 이를 중심으로 고전시가 교육의 이론과 방법을 탐구한 책이다. 특히 이 책에서 인용한 학습자 자료가 돋보인다.
책머리에
제1장 세 개의 키워드로 본 고전시가 교육 - 시공간적 거리감, 전유, 정서 1. ‘가르친 것’과 ‘배운 것’의 괴리 2. 고전시가 교육 담론과 ‘시공간적 거리감’ 3. 전통론으로 회귀할 수 없는 이유 4. 학습자 중심주의의 맹점과 ‘전유(轉有)’ 5. 전유의 결과로서의 ‘정서(情緖)’
제2장 시공간적 거리감 1. 시공간적 거리감의 개념 2. 시공간적 거리감을 극복한다는 것의 의미 3. 시공간적 거리감을 활용한 고전시가 감상
제3장 전유(轉有) 1. 전유의 개념 2. 텍스트를 전유한다는 것의 의미 3. 고전시가 전유의 사례-김소월의 「진달래꽃」 4. 전유된 텍스트가 학습자에게 미치는 영향 5. 시공간적 거리감과 능동적인 전유의 가능성
제4장 정서(情緖) 1. 정서의 개념 2. 텍스트의 정서를 전유한다는 것의 의미 3. 학습자의 ‘텍스트의 정서’ 전유 양상 4. 텍스트의 정서를 전유하는 절차
제5장 시공간적 거리감의 활용 능력과 장르 지식 교육 1. 실제 수업의 반성과 대안 2. 시공간의 인식틀로서의 ‘장르’ 3. 정서 구축 방식으로서의 ‘장르’ 4. 장르 지식을 활용한 상호텍스트적 읽기
참고문헌 찾아보기
온 세계의 바다가2004 / 엮음: 신현득 ; 그림: 이한중 / 위즈덤북
헛똑똑이의 詩읽기2008 / 오탁번 / 고려대학교 출판부
비벌리 힐스의 포르노 배우와 유령들 : 주하림 시집2013 / 지은이: 주하림 / 창비
시 읽기의 즐거움1999 / 최동호 저 / 고려대학교 출판부
(매콤달콤 맛있는) 우리 고전 시가 : 아빠가 들려주는 문학 이야기2016 / 지은이: 한기호 ; 그린이: 설찌 / 사계절
(매콤달콤 맛있는) 우리 고전 시가 : 아빠가 들려주는 문학 이야기2016 / 지은이: 한기호 ; 그린이: 설찌 / 사계절
시를 어떻게 고칠 것인가1998 / 박제천 저 / 문학아카데미
고전시가 교육의 탐구 = (An) inquiry on Korean classical poetry education : 시공간적 거리감, 전유, 정서를 중심으로2013 / 고정희 지음 / 소명출판
유쾌한 시학 강의 : 16명의 현직 시인이 말하는 시의 모든 것2013 / 강은교 ; 이승학 외 지음 / 아인북스
유쾌한 시학 강의 : 16명의 현직 시인이 말하는 시의 모든 것2013 / 강은교 ; 이승학 외 지음 / 아인북스
유성기의 시대, 유행시인의 탄생 : 시와 유행가요의 경계에 선 시인들2013 / 구인모 지음 / 현실문화연구
유성기의 시대, 유행시인의 탄생 : 시와 유행가요의 경계에 선 시인들2013 / 구인모 지음 / 현실문화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