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기도서

전체도서관 소장정보

소장정보 리스트입니다.
자료실 대출상태 반납예정일 청구기호 등록번호 자료예약 상호대차 책마중 정보출력

책소개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우리나라 최고의 별밤지기 안성천문대 심재철 명예대장은 우리가 왜 별을 봐야 하는지 이야기한다. 별을 찾으며 생각하는 방법을 알려준다.

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1장 밤하늘 옛날 사람들은 왜 밤하늘을 열심히 관측했을까?
방황하는 별의 정체는 무엇일까?
밤하늘을 열심히 관찰해야 했던 실제 이유는?
태양이 뜨고 지는 위치를 보고 어떻게 날짜와 시각을 알 수 있을까?
별이 뜨고 지는 것을 보고 어떻게 날짜와 시각을 알 수 있을까?
별자리는 왜 만들었을까?
은미의 생일은 왜 4년에 한 번밖에 돌아오지 않는 것일까?
왜 우(右)반달, 좌(左)반달이라 하지 않을까?
별은 얼마나 크고 얼마나 멀리 있을까?
천체까지 거리는 어떻게 측정할까?
우주에서 관측되는 구름의 정체는 무엇일까?
우리는 왜 별을 봐야 할까?

2장 별자리 내가 찾는 별자리는 어디에 있을까?
세계 지도에서 어떤 나라를 빨리 찾으려면?
크리스마스이브에 견우성과 직녀성을 볼 수 있을까?
왜 생일날 나의 탄생 별자리를 볼 수 없을까?
여름 밤하늘에 보이는 별자리는 모두 여름철의 별자리일까?
각 계절별 별자리는 어떻게 정할까?
각 계절별 별자리의 서쪽과 동쪽에 위치한 별자리는 어느 계절의 별자리일까?
어느 계절의 별자리를 먼저 찾아야 할까?
거문고자리와 전갈자리는 어느 쪽에서 뜨고 질까?
한여름의 별자리 또는 계절별 중심 별자리는 무엇일까?

3장 견우와 직녀 견우성과 직녀성을 찾아본 적이 있는가?
왜 내가 자신 있게 찾을 수 있는 별자리가 없을까?
큰곰자리와 목동자리 중 어떤 별자리를 찾기 쉬울까?
16개의 일등성은 모두 어느 별자리의 알파성일까?
별자리는 위치가 중요할까, 모양이 중요할까?
견우성과 직녀성을 어떻게 구별할까?
서울에서 볼 때 청주와 제천 중 어느 도시가 더 남쪽에 있을까?
별들의 상대 위치를 정확하게 알 수는 없을까?
북극성은 어디에 어떤 높이로 떠 있을까?
서울에서 천정을 지나가는 가장 밝은 천체는 무엇일까?
계절별로 가장 찾기 쉬운 별은 어떤 별일까?
계절별 기준 별자리 찾는 방법

4장 남중 구름 사이로 보이는 별이 어떤 별인지 어떻게 알 수 있을까?
태양은 어디서 뜨고 언제 남중할까?
별은 언제 남중할까?
항성시를 알면 내가 찾는 별의 위치를 예측할 수 있을까?
밝은 별 하나만 보여도 그 별이 무슨 별인지 추측할 수 있을까?
항성시를 가장 쉽게 알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일까?
추분엔 왜 ‘별 찾기가 누워서 떡 먹기’라고 할까?
망망대해의 위치를 어떻게 알 수 있을까?
내가 직접 항성시를 계산할 수 있을까?

5장 일식과 월식 태양이 지구보다 훨씬 크다는 것을 어떻게 알았을까?
지구가 둥글다는 것을 언제 느낄 수 있을까?
남산 서울타워에서 설악산 대청봉이 보이지 않는 이유는 무엇일까?
하늘의 달은 동전만 한데 지평선 위의 달은 왜 그렇게 커 보일까?
보름달이 갑자기 어디로 사라지는 것일까?
아리스토텔레스는 무엇을 보고 지구가 둥글다고 확신했을까?
지구가 보름달보다 세 배밖에 크지 않다는 것을 어떻게 알아냈을까?
태양이 달보다 크다는 것을 어떻게 알 수 있을까?
태양이 누구에게 먹히는 것일까?
태양이 지구보다 훨씬 크다는 것을 어떻게 알았을까?
막대기 하나로 피라미드의 높이를 어떻게 잴 수 있었을까?
달까지의 정확한 거리를 어떻게 측정했을까?

6장 위대한 논쟁 땅이 돌까, 하늘이 돌까?
하늘이 도는 것일까?
천문학에서의 아리스토텔레스
왜 태양이 우주의 중심이어야 할까?
하늘이 돌까, 땅이 돌까?
별이 뜨는 시각은 왜 매일매일 조금씩 빨라질까?
금성은 왜 한밤중에는 볼 수 없을까?
초저녁 동쪽 하늘에 갑자기 나타난 밝은 별의 정체는 무엇일까?
토성과 목성은 별자리 사이를 어떻게 이동할까?
별자리 사이를 방황하는 붉은 별의 정체는 무엇일까?
행성은 어떻게 역행할 수 있을까?
행성은 언제 역행할까?
천동설과 지동설의 논쟁을 끝낼 수 있는 결정적인 증거는 무엇일까?

7장 세상의 중심 지구의 자전을 느낄 수 있을까?
천동설이 오랫동안 진리로 받아들여진 이유는 무엇일까?
망원경에서 배율보다 중요한 것이 무엇일까?
허블 우주 망원경은 왜 우주에 설치됐을까?
갈릴레이는 망원경으로 달과 태양을 관측하고 무엇을 느꼈을까?
지구를 돌지 않는 천체를 본 적이 있는가?
초저녁 동쪽 하늘에 보이는 화성과 초저녁 서쪽 하늘에 보이는 화성은 어떤 차이가 있을까?
금성이 보름달 모양으로 보이는 때가 있을까?
세상의 중심은 태양일까, 지구일까?

더 읽으면 종은 이야기 하나
더 읽으면 종은 이야기 둘
더 읽으면 종은 이야기 셋
더 읽으면 종은 이야기 넷

찾아보기

서가브라우징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태양계  : 태양의 가족 태양계 : 태양의 가족 2010 / 박병곤 지음 / 열린어린이
태양계  : 태양의 가족 태양계 : 태양의 가족 2010 / 박병곤 지음 / 열린어린이
(동화로 읽는) 우주 이야기 (동화로 읽는) 우주 이야기 2007 / 박용기 지음 ; 송향란 그림 / 봄나무
(동화로 읽는) 우주 이야기 (동화로 읽는) 우주 이야기 2007 / 박용기 지음 ; 송향란 그림 / 봄나무
태양과 달 이야기 태양과 달 이야기 2006 / 콜나트 뵌 글 ; 마르코 스파라차리 그림;유연수 옮김 / 여우오줌
태양과 달 이야기 태양과 달 이야기 2006 / 콜나트 뵌 글 ; 마르코 스파라차리 그림;유연수 옮김 / 여우오줌
(입체로 보는) 3D 별자리 도감 (입체로 보는) 3D 별자리 도감 2010 / 스고우라 고헤이 ; 기타무라 마사토시 지음 / 진선아이
(미스터 갈릴레이의) 별별 이야기  : 별을 찾으며 과학을 배우다 (미스터 갈릴레이의) 별별 이야기 : 별을 찾으며 과학을 배우다 2013 / 글쓴이: 심재철 ; 일러스트: 정중호 / 동아사이언스
(저학년용)우주와 별이야기 (저학년용)우주와 별이야기 2001 / 이재광 글 / 지식서관
(별난 선생님이 들려주는) 우주견문록. 1 (별난 선생님이 들려주는) 우주견문록. 1 2009 / 이태형 글 ; 카툰플러스 그림 / 사이언스주니어
(별난 선생님이 들려주는) 우주견문록. 1 (별난 선생님이 들려주는) 우주견문록. 1 2009 / 이태형 글 ; 카툰플러스 그림 / 사이언스주니어
(별난 선생님이 들려주는) 우주견문록. 2, 별박사 이태형 선생님의 태양계 이야기 (별난 선생님이 들려주는) 우주견문록. 2, 별박사 이태형 선생님의 태양계 이야기 2009 / 이태형 글 ; 카툰플러스 그림 / 사이언스주니어
(별난 선생님이 들려주는) 우주견문록. 2, 별박사 이태형 선생님의 태양계 이야기 (별난 선생님이 들려주는) 우주견문록. 2, 별박사 이태형 선생님의 태양계 이야기 2009 / 이태형 글 ; 카툰플러스 그림 / 사이언스주니어
(별난 선생님이 들려주는) 우주견문록. 3, 별박사 이태형 선생님의 우주여행 이야기 (별난 선생님이 들려주는) 우주견문록. 3, 별박사 이태형 선생님의 우주여행 이야기 2009 / 이태형 글 ; 카툰플러스 그림 / 사이언스주니어
(별난 선생님이 들려주는) 우주견문록. 3, 별박사 이태형 선생님의 우주여행 이야기 (별난 선생님이 들려주는) 우주견문록. 3, 별박사 이태형 선생님의 우주여행 이야기 2009 / 이태형 글 ; 카툰플러스 그림 / 사이언스주니어

같이 빌린 책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Why? 이슬람 세계의 형성과 발전 Why? 이슬람 세계의 형성과 발전 2013 / 김영훈 글 ; 송회석 그림 / 예림당
대한민국 엄마 구하기  : 대치동 엄마에서 땅끝마을 엄마까지 대한민국 엄마 구하기 : 대치동 엄마에서 땅끝마을 엄마까지 2016 / 박재원 지음 / 김영사
(별자리판과 함께 떠나는)어린왕자의 별자리 여행 (별자리판과 함께 떠나는)어린왕자의 별자리 여행 2009 / 김상구 / 한승
(빈이 들려주는) 기후 이야기 (빈이 들려주는) 기후 이야기 2008 / 송은영 지음 / 자음과모음
(Science)신비한 우주 속으로 (Science)신비한 우주 속으로 2007 / 김정홍 글 ; 양은희 그림 ; 미국항공우주국 ; 한국천문연구원 [같이]사진 / 아이앤북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 루이스 캐럴 장편동화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 루이스 캐럴 장편동화 2015 / 글: 루이스 캐럴 ; 그림: 토베 얀손 ; 옮김: 한낙원, 한애경 / 창비
비밀의 저택 그린 노위 비밀의 저택 그린 노위 2014 / 루시 M. 보스턴 글 ; 피터 보스턴 그림 ; 김옥수 옮김 / 비룡소
(어린이를 위한)수학의 역사. 2, 유클리드에서 분수의 탄생까지 (어린이를 위한)수학의 역사. 2, 유클리드에서 분수의 탄생까지 2008 / 지음: 후지와라 야스지로, 이광연 / 살림어린이
(마르지 않는 창작의 샘)피카소 (마르지 않는 창작의 샘)피카소 2008 / 염명순 지음 / 아이세움
과학사의 빛나는 순간 : 세상을 바꾼 위대한 발명과 발견 이야기 과학사의 빛나는 순간 : 세상을 바꾼 위대한 발명과 발견 이야기 2007 / 마농 바우크하게 지음 ; 이수영 옮김 / 웅진씽크빅
(Why?)해부학 (Why?)해부학 2013 / 글: 조영선 ; 만화: 이영호; / 예림당
(우리고전)춘향전 (우리고전)춘향전 1992 / 허순봉 구성 ; 이규성 그림 / 능인
(Why?)과학수사 (Why?)과학수사 2013 / 글: 조영선 ; 만화: 이영호 / 예림당
(어린이를 위한)수학의 역사. 3:, 계산기의 탄생에서 네이피어까지 (어린이를 위한)수학의 역사. 3:, 계산기의 탄생에서 네이피어까지 2007 / 후지와라 야스지로, 이광연 [같이] 지음 / 살림어린이

같은 주제의 책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모든 것의 기원 : 예일대 최고의 과학 강의 모든 것의 기원 : 예일대 최고의 과학 강의 2017 / 지음: 데이비드 버코비치 ; 옮김: 박병철 / 책세상
숨은 별자리 찾기 숨은 별자리 찾기 2016 / 지음: 한스 아우구스토 레이 ; 옮김: 이현주 / 비룡소
이종필 교수의 인터스텔라 : 쉽고 재미있는 우주론 강의 이종필 교수의 인터스텔라 : 쉽고 재미있는 우주론 강의 2015 / 이종필 지음 ; 김명호 그림 / 동아시아
스페이스 크로니클 : 우주 탐험, 그 여정과 미래 스페이스 크로니클 : 우주 탐험, 그 여정과 미래 2016 / 닐 디그래스 타이슨 지음 , 에이비스 랭 엮음 , 박병철 옮김 / 부키
청소년을 위한 코스모스: 세상에서 가장 재미있는 천문학 청소년을 위한 코스모스: 세상에서 가장 재미있는 천문학 2016 / 지음: 에마뉘엘 보두엥; 카트린 에벙 보두엥; 옮김: 홍은주 / 생각의길
화성 탐사 : 붉은 행성의 비밀을 찾아서 화성 탐사 : 붉은 행성의 비밀을 찾아서 2018 / 엮음: 사이언티픽 아메리칸 편집부 ; 옮김: 이동훈 / 한림
달 : 지구의 하나뿐인 위성 달 : 지구의 하나뿐인 위성 2012 / 지음: 최영준 / 열린어린이
우주의 끝을 찾아서 : 우주 가속 팽창의 발견, ’있을 수 없던’ 우주 이야기 우주의 끝을 찾아서 : 우주 가속 팽창의 발견, ’있을 수 없던’ 우주 이야기 2014 / 지음: 이강환 / 현암사
스티븐 호킹의 블랙홀 스티븐 호킹의 블랙홀 2018 / 지음: 스티븐 호킹, 옮김: 이종필 / 동아시아
우주를 계산하다: 광대한 우주가 건네는 수학적 사고로의 초대 우주를 계산하다: 광대한 우주가 건네는 수학적 사고로의 초대 2019 / 이언 스튜어트 지음; 이충호 옮김 / 흐름출판
믿을 수 없겠지만 빅뱅 믿을 수 없겠지만 빅뱅 2020 / 지음: 카타리나 소브럴 ; 옮김: 이지유 / 키다리
우주, 시간, 그 너머 : 원자가 되어 떠나는 우주 여행기 우주, 시간, 그 너머 : 원자가 되어 떠나는 우주 여행기 2017 / 지음: 크리스토프 갈파르, 옮김: 김승욱 / RHK
빅뱅의 메아리 : 우주가 빛에 새긴 모든 흔적 우주배경복사 빅뱅의 메아리 : 우주가 빛에 새긴 모든 흔적 우주배경복사 2017 / 지음: 이강환 ; , / 마음산책
날마다 천체 물리 날마다 천체 물리 2018 / 지음: 닐 디그래스 타이슨 ; 옮김: 홍승수 / 사이언스북스
인간을 받아 줄 행성 어디 없나요? 인간을 받아 줄 행성 어디 없나요? 2018 / 글쓴이: 조인하; 그린이: 우지현 / Mirae N 아이세움 :

주요 키워드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대출건수
10대 미만0
10대3
20대0
30대0
40대0
50대0
60대0
70대0
80대0
90대0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대출건수
2016년1
2017년0
2018년0
2019년1
2020년0
2021년0
2022년0
2023년0
2024년0
2025년0

해당 페이지의 만족도와 소중한 의견 남겨주세요.

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