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세계는 하나의 거대한 마을, 즉 ‘지구촌’이 되었다. 하지만 그에 비해 정치적, 사회적, 문화적 분절은 더욱 커졌다. 이것이 의미하는 바는 무엇일까? 바로 기술적 진보와 사회적 진보 사이의 거대한 단절이다.
목차
한국어판 서문- 21세기 핵심 과제, 문화 공존
제1장 정보와 소통의 차이
정보 과잉
문화 충돌
정치와 문화의 보복
현대사회의 양면, 개방성과 정체성
문화적 다양성 추구
문화가 가진 의미
수신자의 지위와 역할
제안들
제2장 정체성-문화-소통, 21세기의 위험한 삼각관계
이곳의 문화, 저곳의 문화
세계주의자들의 환상
정치의 귀환
중심 개념, 집단적 문화 정체성
폭발성의 삼각관계
제안들
제3장 문화 공존, 또 다른 세계화
왜 문화 공존인가?
정치적 목적
위험들
문화 공존? 문명의 충돌?
정부, 공존, 국제 공동체
제안들
제4장 유럽을 위해 무엇을 할 것인가?
문화 간 대화의 시험장
유럽 관료주의의 위험들
포퓰리즘의 유혹
유럽의 역사적 관계
서구주의와 보편주의
제안들 : 네 가지 선결 과제
제5장 한국, 또 다른 세계화를 위한 기회인가?
왜 한국은 여전히 미지의 나라로 남아 있는가?
문화로 소통할 것인가? 기술로 소통할 것인가?
한국, 과연 소통하는가?
한국과 다언어주의
제안들 : 한국이 취해야 할 소통 전략
제6장 또 다른 세계화, 현실 문제의 시험장
생태 다양성과 문화 다양성
문화 다양성과 국제적 균형
아랍의 봄, 불통의 증거
불통과 민족주의
불통과 문화 산업
기술 이데올로기와 아랍의 봄
다르게 소통하기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