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간행사
1부 진관사 수륙재의 특성과 가치
1장 진관사 수륙재의 특성과 가치 / 홍태한
1. 머리말
2. 불교의례의 대표로서 진관사 수륙재
3. 진혼의례의 보편구조 진관사 수륙재
4. 새로운 축제모델로서 진관사 수륙재
5. 진관사 수륙재의 연구 방향
2장 진관사 수륙재의 절차 / 양영진
1. 머리말
2. 낮재
3. 밤재
4. 진관사 수륙재 절차의 구조
3장 진관사 수륙재의 구성과 연행 / 홍태한
1. 머리말
2. 수륙재의 재차 구성
3. 수륙재의 연행 방식을 바탕으로 한 재차의 의미
4. 세부 재차를 통해 본 수륙재 각 재차의 의미
5. 맺음말: 수륙재의 연행방식의 의미
4장 진관사 수륙재와 영산재의 비교 / 홍태한
1. 불교의례의 두 축 수륙재와 영산재
2. 영산재와 수륙재의 공통성
3. 영산재와 수륙재의 변별성
4. 맺음말
5장 진관사 수륙재와 무속의례의 비교-서울 진오기굿과 수륙재를 중심으로- / 홍태한
1. 머리말
2. 진오기굿과 수륙재의 재차 비교
3. 진오기굿과 수륙재의 개별 재차 구성 방식 비교
4. 진오기굿과 수륙재의 무악 의미의 비교
5. 맺음말: 진오기굿과 수륙재를 바라보는 시각
6장 진관사 수륙재 <하단>에 보이는 죽음 형상의 보편성 / 홍태한
1. 머리말
2. 수륙재의 하단, 감로탱, 뒷전류, 여제에 나타난 죽음 형상
3. 수륙재, 감로탱, 뒷전류, 여제 죽음 형상의 비교
4. 맺음말: 죽음 형상 동질성의 의미
2부 진관사 수륙재의 구성 요소와 전승활동
1장 불교의 지화장엄紙花莊嚴과 무속의 지화 / 윤동환
1. 머리말
2. 지화장엄과 지화의 전승
3. 진관사 수륙재의 지화
4. 오구굿에서 지화 양식의 차용과 전용
5. 맺음말
2장 진관사 수륙재 의식무의 양상과 의미 / 이애현
1. 머리말
2. 불교 작법무의 양상
3. 진관사 수륙재의 의식절차와 구성
4. 진관사 수륙재 의식무의 재차별 양상
5. 진관사 수륙재에 나타난 의식무 현황
6. 맺음말: 진관사 수륙재 의식무의 특징
3장 진관사 수륙재의 범패 구성과 역할 / 양영진
1. 머리말
2. 진관사 수륙재 범패의 유형
3. 진관사 수륙재 범패의 역할
4장 진관사 수륙재의 단壇차림 구성과 의미 / 옥정원
1. 머리말
2. 조선시대 수륙재의 단壇차림
3. 수륙재 상·중·하단차림의 구성과 의미
4. 맺음말
5장 진관사 수륙재의 전승 활동과 수륙재 학교 / 최범석
1. 머리말
2. 수륙재 학교의 설립
3. 수륙재 학교의 구성 및 운영 방안
4. 수륙재 학교 수업 안
5.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