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저자의 박사학위논문을 수정, 보완한 것으로서 중점적인 주제인 기이(奇異)와 고려시대, 담론이라는 세 가지 키워드를 다루고 있다. 1장에서는 한국문학사와 한국문화에서 기이가 차지하는 위상을 점검하면서 기이가 무엇이며, 왜 담론이라는 방법으로 접근하는지를 설명하며, 이를 통해 고려시대의 담론적 특성에 대해 대략적인 윤곽을 잡아본다. 2장은 고려 이전의 기이담론에 대한 내용을 담았고, 3장은 고려시대 기이담론의 지형도를 그려낸다. 4장은 고려 기이담론이 어떠한 식으로 해체되었는지를 설명하고 5장에서 결론을 짓는다.
목차
감사의 말
Ⅰ. 서론
1. 기이의 문학사적, 문화적 위상
2. 방법으로서의 담론
3. 기이와 지식, 그리고 국가의 관계
Ⅱ. 고려 이전의 기이담론
1. 고대국가 성립기의 기이담론
(1) 성인聖人으로서의 군주
(2) 국가 성립기의 이인異人, 이물異物
2. 불교 도입 이후 담론장의 확산
(1) 담론 확장의 장치: 감응과 징험
(2) 시간관의 확장: 필연의 의지와 무한 확장성
(3) 대상영역의 확장: 민民을 향한 위로의 서사
3. 재이담론의 전개과정
(1) 재이와 신화적 사유의 융합
(2) 정치담론의 형성 및 문제해결 구조 성립
(3) 잠재적 계열들의 부상
Ⅲ. 고려시대 기이담론의 지형도
1. 지식과 기이의 관계 양상
(1) 풍수도참론: 국업 연장의 방법
가. 풍수에 의한 공간 선점법과 도참의 시간이해 방식
나. 기이: 진실입증의 장치
(2) 재이담론의 정치적 성격 확대
(3) 기양의례를 중심으로 본 지식과 기이의 경합
2. 영험과 권력의 교환관계
3. 삶과 죽음, 두려움과 형벌: 기이로 드러난 14세기 고려인의 내면세계
(1) 죽음이라는 극단점
(2) 불교영험의 특성
가. 생의 욕망과 두려움
나. 지옥의 형상화와 법화영험의 효력
4. 역사관: 시간연장을 위한 방법 모색
(1) 신성과 적덕積德의 시간
(2) 불교영험에 대한 믿음과 회의
5. 기이담론 공인의 기준
(1) 생에 대한 욕망
(2) 왕실과의 연계성 및 신성의 조건
Ⅳ. 고려 기이담론의 해체_
1. 이단의 설정: 연복사탑 중건 논쟁을 중심으로
2. 천과 생의 의미 전환
(1) 천의 의미 변화: 길흉화복의 주재자로부터 성誠의 이법으로
(2) 생에 대한 재정의 및 새로운 인간상 정립
Ⅴ.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