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성경 교수가 1999년 <구운몽 연구>, 2007년 <구운몽의 통시적 연구>에 이어 세 번째 출간하는 <구운몽> 연구에 관련된 저술이다. 그리고 <춘향전의 비밀>, <홍길동전의 비밀>에 이은 고전소설의 비밀을 푸는 세 번째 저술이다. 한쪽은 <구운몽 연구>이고, 다른 한쪽은 3대 고전소설에 대한 비밀을 푸는 연구이기에, 이 연구로서 한국 17세기 소설 연구에 대한 두 가지 동심원이 그려지는 셈이다.
목차
책머리에
제1장 들머리 1-1. 「구운몽」 주제의 비밀은? 1-2. 비밀의 문을 열며
제2장 「구운몽」 연구사로 본 주제 탐색의 큰 방향 2-1. 「구운몽」 주제에 대한 여러 견해들 (1) 부귀공명 일장춘몽설 (2) 『금강경』의 공사상설 (3) 사대부의 이념과 욕망 실현설 등 2-2. 필자가 제안하는 숙종의 각성 염원설
제3장 「구운몽」의 창작 동기와 선몽구조의 세 가지 소재 원천 3-1. 창작 동기에 관한 여러 견해들 (1) 파한 효심설 (2) 중국 사행 창작설 3-2. 필자가 제안하는 효심과 충렬의식을 담은 세계적 명작 지향설 (1) 작가의 거대 효심을 투사시킨 사친형 소설 (2) 삼교사상을 융합시킨 조선형 세계적 명작 지향 3-3. 주제망을 구축하는 선몽구조의 세 가지 소재 원천 (1) 『금강경』의 비무상론에 근거한 다중적 시공간 세계 (2) 『태평광기』 수록 여옹 고사와 능파 고사 (3) 「관동별곡」의 이원세계와 꿈을 통한 세계이동
제4장 한시 시어 ‘구운몽’의 표제화와 유가적 이상향으로의 의미 전환 4-1. 표제의 원천 소재가 된 한시의 시어 ‘구운몽’의 의미 (1) 표제인 ‘구운몽’의 의미에 관한 여러 견해들 (2) ‘구운몽’이 한시 시어로 사용된 중국의 사례와 그 의미 (3) ‘구운몽’이 한시 시어로 사용된 조선의 사례와 그 의미 4-2. 중국 한시와 부에서 주목한 동정호와 소설 「구운몽」의 핵심 공간
제5장 『금강경』의 공관론과 선몽구조 속에 내포된 양소유의 유가적 세계 5-1. 『금강경』 공관의 비무상론에 근거해서 구축한 선몽구조 (1) 『금강경』 공관의 핵심인 비무상론에 근거한 선몽구조 (2) 3층위의 시공간 세계로 전개되는 선적인 몽유 속의 양소유와 백능파 5-2. 육관대사의 『금강경』 설법과 성진의 선적 몽유인 양소유의 일생 (1) 양소유가 보여준 유씨부인에 대한 지극한 효의 실현 (2) 양소유가 보여준 황제에 대한 지극한 충의 실현과 혼사 갈등
제6장 선몽의 서사체계와 동정용궁 회사 화두로 본 표면적인 서사와 은유적 주제 6-1. 표면적인 서사에서 부각된 양원수의 꿈속 존재인 백능파의 수난과 절개 (1) 표면적인 서사에서 부각된 양원수의 꿈속 존재인 백능파 (2) 백용담에서 겪는 백능파의 수난과 양원수의 구제와의 상관성 6-2. 변용된 화두와 표면적인 주제인 성진과 8선녀의 대각이 지닌 상보성 (1) 표면적인 주제는 수행 승려인 성진의 『금강경』 공관에 대한 대각 (2) 변용된 화두로 본 8선녀의 동시적 대각과 유가적 화합으로서의 각성 6-3. 변용된 화두의 은유적 주제는 유가적 대각인 충렬 신하에 대한 숙종의 각성 (1) 서포가 숙종과의 경연에서 행한 직간 사건과 선천으로의 유배 (2) 제3층위의 주역 백능파가 양원수와의 백용담 결연에서 보여준 심정 토로 (3) 은유적 주제는 선천에 유배 중인 충렬 신하에 대한 숙종의 각성 염원
'중심'의 회복을 위하여 = On the way to the axis mundi, the sacred center of the world reading comtemporary novels through myth and symbol : 신화와 상징으로 현대소설 읽기2014 / 민혜숙 [지음] / 소명
쾌족, 뒷담화의 탄생 : 살아있는 고소설2014 / 지음: 이민희 / 푸른지식
텍스트와 콘텍스트, 혹은 한국 소설의 현상과 맥락 : 손정수 평론집2016 / 지은이: 손정수 / 자음과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