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부모가 아이를 이끌어야 한다는 편견을 깨는 ‘반응 육아법’을 국내 최초로 소개하는 책이다. 반응 육아법이란 미국 케이스 웨스턴 리저브 대학교의 제럴드 마호니 교수가 개발하고 미국 교육부가 검증한, 아이가 하는 대로 부모가 따라줄 때 학습 능력, 정서적 능력을 모두 갖춘 유능한 아이가 된다는 이론으로, 부모가 아이의 성장 발달 과정의 주체가 되어야 한다는 우리나라 부모들의 관점을 바꿔줄 것이다.
목차
추천의 말 - 반응 육아법을 알게 될 한국의 부모들에게
글을 시작하며 - 아이의 능력을 키워주는 부모 vs. 아이를 무능하게 만드는 부모
Chapter 1 성공하는 아이·부모 관계란?
01 아이가 먼저 시작하도록 부모는 지켜봐준다
3세와 7세 사이, 성공의 씨앗이 싹튼다
미운 세 살, 스스로 시작하는 나이
부모가 믿고 양보하면 다 얻는다
지는 것이 결국 이기는 것
가르치지 않을 때 아이는 배운다
최초, 최고의 선생님은 바로 부모
아이가 원하는 것은 부모의 인정과 관심이다
02 아이가 주도하면 부모는 따라준다
리더십은 주도성에서 시작된다
7세 이전, 주도성이 형성되는 결정적 시기
하고 싶은 일을 반복할 때 학습이 된다
어떻게 주도적인 아이가 될까?
아이는 흥미를 느껴야 집중한다
이제부터 목표는 ‘과정을 즐기는 것’
아이의 자신감을 뺏으려면 ‘1등’을 강요하라
이렇게 해보자! 아이가 주도하는 바에 따르기
아이들이 망가진 장난감을 좋아하는 이유
03 아이에게 자신감이 생기도록 부모는 믿어준다
기대가 지나치면 아이는 무력해진다
작지만 소중한 ‘성공의 경험’
어떻게 자신감 있는 아이가 될까?
윽박지를 거라면 차라리 가르치지 마라
아이의 작은 성공을 칭찬하라
이렇게 해보자! 질문없이 대화하기
04 아이가 감정을 조절할 때까지 부모는 기다려준다
순한 아이, 까다로운 아이, 더딘 아이
내 아이는 마시멜로의 유혹을 참을 수 있을까?
부모가 공감해 줄 때, 아이는 화를 다스린다
아이를 말썽쟁이로 만드는 것은 바로 부모
까다로운 아이는 정말로 까다로울까?
이렇게 해보자! 아이의 성향에 맞춰 기대하기
05 협력하는 아이에게는 신뢰받는 부모가 있다
서로 믿는 관계일 때 아이는 부모에게 협력한다
부모가 Yes할 때 아이도 Yes한다
‘신뢰’는 부모와 아이를 잇는 보이지 않는 탯줄
우리 아이 Yes Child로 키우기
첫째, 대화를 Yes로 시작하라
둘째, 아이의 능력 범위 안에서 요구하라
셋째, 아이의 관심에 주목하라
넷째, 아이에게 요구하는 횟수를 줄여라
이렇게 해보자! 아이에게 선택할 기회 주기
Chapter 2 반응적인 부모가 유능한 아이를 만든다
06 어떤 부모가 아이의 능력을 키워주는가?
‘가르쳐라’ vs. ‘반응하라’
아이의 시선을 따라가며 즉각적으로 반응하라
일방통행이 아닌 양방향 소통을 하라
엄격하게 계획하는 훈련형 부모
아이를 주도하는 교사형 부모
아이를 늘 보살피려는 애정형 부모
그러나 최선의 부모는 반응형 부모
이렇게 해보자! 아이에게 준 만큼만 받기
07 부모가 반응적일 때, 아이의 인지능력이 발달한다
학습 효과를 높이려면 말을 아껴라
아이들의 놀이, 초대받기 전에는 끼어들지 마라
아이들은 일상에서 가장 많이 배운다
자발적인 동기가 생겨나는 순간
부모는 아이의 임시 지지대
이렇게 해보자! 아이가 할 수 있는 것만 요구하기
08 부모가 반응적일 때, 아이의 의사소통 능력이 발달한다
비언어적인 의사소통이 대화의 시작이다
질문을 많이 할수록 아이의 말문은 막힌다
‘아땅’을 ‘사탕’으로 고쳐주지 마라
아이의 방식대로 말해 줄 때 말문이 트인다
이렇게 해보자! 아이보다 적게 말하기
09 부모가 반응적일 때 아이의 사회·정서 능력이 발달한다
부모의 사랑을 표현하는 최고의 방법, 신뢰
우울한 엄마 아래 우울한 아이
아이의 성향에 부모의 기대를 맞춰라
부모를 괴롭히려고 짜증내는 아이는 없다
부모가 인정해 줄 때 아이는 자신감을 키운다
최상의 조기 교육은 ‘자신감 키워주기’
이렇게 해보자! 놀이 상대자로서 행동하기
Chapter 3 반응적인 부모에 대한 오해
10 반응적이라고 착각하는 부모들
허용적인 부모가 반응적인 부모인가?
적합한 울타리를 지어주는 권위가 필요하다
애정적이면 반응적인 부모인가?
지시하는 부모는 위험하다
반응적인 부모는 절대로 훈계하지 않는가?
훈계는 신뢰관계에서 효력이 있다
11 과거의 편견을 버리지 못하는 부모들
선행학습은 아이의 능력을 향상시킨다?
‘시간이 없어서’ 아이와 잘 놀아주지 못한다?
결과 중심적인 생각이 1등을 만든다?
전문가만이 아이의 인지학습을 향상시킨다?
글을 맺으며 - 함께 행복해지는 아이와 부모 사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