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보 대통령으로 불리는 노무현 대통령과 보수 대통령으로 불리는 이명박 대통령의 통치 어젠다와 그 효과를 분석한 책. 2007년 대선을 규정한 이슈가 노무현 정부 심판이었다면, 2012년 대선에서는 이명박 정부에 대한 심판이 주요 이슈가 될 가능성이 크다. ‘선호하는 차기 정부 이념 성향’은 현 정부에 대한 대중의 평가라는 점에서, 대통령의 성패를 가르는 주요 지표다.
목차
저자 서문
1부 무엇을 말하려 하는가 1장 책을 집필한 이유 1. 진보의 위기와 보수의 위기, 그리고 통치의 위기 2. 진보 정부를 실증적으로 독해하는 방법 3. 통치의 정치학이 필요하다 4. 왜 어젠다인가 5. 어젠다와 대통령 지지의 관계 6. 여론조사에 대한 몇 가지 변명 7. 나무가 아니라 숲을 보는 방법으로서 여론 읽기 2장 어떻게 서술했는가 1. 어떤 데이터를 사용했는가 2. 어떻게 유형화했는가 3. 어떻게 분석했는가 4. 어떤 방법을 사용했는가 5. 어떻게 서술했는가
2부 노무현 대통령의 어젠다와 통치 3장 노무현 대통령의 어젠다 1. 전반적인 정치 환경 2. 주요 어젠다와 유형화 3. 어젠다의 내용과 평가 4장 노무현 대통령이 선택한 어젠다와 대중의 평가 1. 어떤 분야에 집중했는가 2. 어떤 어젠다에 주력했는가 3. 어떤 성격의 어젠다를 선택했는가 5장 노무현 대통령의 어젠다는 대통령 지지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 1. 어떤 분야의 어젠다가 지지율 상승을 이끌었는가 2. 대통령의 주도권 행사는 지지율 상승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 3. 어떤 성격의 어젠다가 지지율 상승을 이끌었는가
3부 이명박 대통령의 어젠다와 통치 6장 이명박 대통령의 어젠다 1. 전반적인 정치 환경 2. 주요 어젠다와 유형화 3. 어젠다의 내용과 평가 7장 이명박 대통령이 선택한 어젠다와 대중의 평가 1. 어떤 분야에 집중했는가 2. 어떤 어젠다에 주력했는가 3. 어떤 성격의 어젠다를 선택했는가 8장 이명박 대통령의 어젠다는 대통령 지지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 1. 어떤 분야의 어젠다가 지지율 상승을 이끌었는가 2. 대통령의 주도권 행사는 지지율 상승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 3. 어떤 성격의 어젠다가 지지율 상승을 이끌었는가
4부 결론: 노무현·이명박 대통령을 통해 미래의 대통령을 말한다 9장 노무현·이명박 대통령의 통치에 대한 평가 1. 왜 어젠다인가 2. 노무현 대통령의 어젠다를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 3. 이명박 대통령의 어젠다를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 4. ‘열망에서 실망으로’의 사슬을 어떻게 끊어야 하는가 5. 임기 후반 이명박 대통령은 어떻게 어젠다를 관리해야 하는가 10장 2012년 대선, 보수 진영과 진보 진영은 어떤 어젠다를 제기해야 하는가 1. 통치 경험을 대선에 적용하기 2. 대선의 시대정신 3. 민심의 거대한 변화 4. 대선의 이슈 5. 대선의 어젠다 6. 2012년 대선과 한국 정치
참고문헌 표·그림 차례 회귀분석표
서가브라우징
게으른 정의 : 표창원이 대한민국 정치에 던지는 직설 2021 / 지음: 표창원 / 한겨레
한국 정치와 현대정치학2002 / 하봉규 저 / 세종출판사
남북한의 통일딜레마2012 / 하상식 지음 / 해남
21세기 한반도 백년대계 : 부강국가를 넘어서 지식국가로2004 / 정보세계정치연구회 기획 ; 하영선 편 / 풀빛
최순실 게이트 : 기자들, 대통령을 끌어내리다2017 / 지음: 한겨레 특별취재반 / 돌베개
한국 민주주의의 기원과 미래 : 보수가 이끌다2011 / 김세중 ; 김용호 ; 김주성 ; 김형준 ; 박효종 ; 안병직 ; 이주영 ; 정진영 지음 ; 안병직 편 / 시대정신
문재인 사람들 : 누가 새 정부를 움직이는가2017 / 한국경제신문 편집국 지음 / 한국경제신문
진보 대통령 vs 보수 대통령 : 대통령 어젠다를 통해 본 한국 정치2011 / 한귀영 지음 / 폴리테이아
(한반도) 통일로 가는 미래 = Future toward unification. 1 : peace is friendly each other2019 / 한국방송신문연합회 [편] / 한국방송신문연합회
(한반도) 통일로 가는 미래 = Future toward unification. 2 : peace is friendly each other2019 / 한국방송신문연합회 [편] / 한국방송신문연합회
한국 민주주의의 현실과 도전 : 6월항쟁 그 이후2007 / 학술단체협의회ㆍ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엮음 / 한울
한국의 새로운 비전 : 대선 예비주자들과 뉴리더들의 제안2006 / 유준상 외 39인 저 / 21세기경제사회연구원
한국 민주주의의 위기와 전망 : 민주화, 세계화, 탈안보화2013 / 장훈 외 지음 / 인간사랑
한국 민주주의의 위기와 전망 : 민주화, 세계화, 탈안보화2013 / 장훈 외 지음 / 인간사랑
한국 민주주의와 언론자유 그리고 그 위기 = Korean democracy, freedom of speech and the crisis2013 / 한국정치평론학회 편 / 인간사랑
같이 빌린 책
도널드 트럼프 = Donald Trump : 정치의 죽음 : 트럼프는 공화당의 비극이고, 미국의 비극인가?2016 / 지은이: 강준만 / 인물과 사상사
청소년, 정치의 주인이 되어 볼까? : 청소년을 위한 살아 있는 정치 이야기2013 / 이효건 지음 ; 정은규 그림 / 사계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