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동화를 어떻게 쓸 것인가
1. 어린이들에게 이야기를 들려주자
2. 무슨 이야기를 들려줄까?
3. 동화를 써 보자
4. 동화란 무엇인가?
5. 동화의 갈래
6. 작품이 될 때까지
7. 주제에 대하여
8. 밑감에 대하여
9. 구성에 대하여
10. 문장에 대하여
11. 창작동화의 문장들
12. 어린이의 글에서 배운다
13. 작품의 보기
제2장 옛이야기, 그 내림을 이어받는 문제
1. 옛이야기와 창작동화
2. 옛이야기에 대한 관심과 이해
3. 옛이야기의 자리
4. 옛이야기에 대한 불만과 비난에 대하여
5. 무엇을 이어받아야 하는가
6. 서유럽 동화를 받아들이는 문제
7. 어떻게 이어받을 것인가
8. 재화·재창작·창작의 실제와 그 문제점
9. 맺는말
제3장 옛이야기, 그 풍부한 문학의 세계
첫째 ‘팥죽 어머니’ 이야기
둘째 ‘해님과 달님’ 이야기
셋째 ‘팥죽 할머니’ 이야기
넷째 ‘미구’ 이야기
다섯째 ‘글공부, 살림공부’ 이야기
여섯째 ‘배운 사위와 못 배운 며느리’ 이야기
일곱째 ‘배고프니 먹고 보자’ 이야기
여덟째 ‘말도 아닌 말’ 이야기
아홉째 ‘기왓장과 호랑이’ 이야기
제4장 다시 살려야 할 뛰어난 유년동화의 고전_현덕 동화집 《너하고 안 놀아》
1. 작가와 이 작품의 자리
2. 작품의 길이와 나오는 아이들
3. 작품 속에 나타난 아이들 모습
4. 몇 가지 글감으로 보는 아이들 세계
5. 어른 세계의 모순이 가져온 아이들 세계의 뒤엉킴
6. 구성에 대하여
7. 문장에 대하여
8. ‘-의’와 그 밖의 토씨를 어떻게 썼는가
9. 깨끗하고 넉넉한 우리말
10. 잘못 쓴 말과 다듬어서 써야 할 말
11. 아이들의 이름에 대하여
12. 부름말 ‘어머니’와 ‘아버지’에 대하여
13. 높임말 토씨 ‘-께서’를 어떻게 썼나
14. 작품 <우정>에 나타난 문제점
15. 아이들과 문학을 살리는 길(맺는말)
제5장 동요를 살리는 길_이원수 동요 세계를 훑어보면서
1. 아이들의 입에서 저절로 터져 나왔던 노래
2. 어른들이 지어 준 노랫말과 가락
3. 이원수 동요의 사실성
4. 해방 후의 작품들
5. 마지막 병상에서 남긴 작품들
6. 참된 노래 지어 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