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음에 대한 제대로 된 논의가 턱없이 부족한 우리의 학문적 풍토에서 보자면, 죽음 뒤의 삶에 대한 질문과 연구는 익숙하게 여겨질 뿐 실은 매우 낯선 것이다. 오랫동안 사후생 문제에 천착해 온 이화여대 최준식 교수는 한국죽음학회를 설립하고, 죽음 문제와 관련한 다양한 책을 저술, 번역하는 등 한국 사회에서 거의 불모지나 다름없는 죽음학 연구를 쉼없이 해왔다.
목차
서문 처음에 스쳐가며 문을 열며
서설│사후생을 연구하는 세 가지 태도 첫 번째 태도 ― 사후생만을 긍정하는 태도 두 번째 태도 ― 영계만을 주로 연구하는 태도 세 번째 태도 ― 영계를 넘어서 환생까지 연구하는 태도 환생을 주장하는 첫 번째 그룹 ― 신비가들 다스칼로스와 마르티누스는 누구인가? 환생을 주장하는 두 번째 그룹 ― 최면을 이용한 사람들 영계나 환생을 이야기하는 그 밖의 중요한 설명들 ― 스티븐슨과 채널링을 중심으로
본설Ⅰ│영계로 들어가 단계별로 보기 들어가며 ― 임종 직후 일어나는 일들에 대해 이른바 영체(靈體)에 대해 임종 전후의 모습들
본설Ⅱ│드디어 영계로 진입해서 단계별로 나누는 문제에 대해 몇 단계로 나눌까? 스베덴보리의 영(천)계관에 대해 스베덴보리가 주장하는 영계관의 문제점 첫 번째 영역에서 ― 중간 영역 혹은 일차 영역 일차 영역의 초입에서 ― 영을 정화하는 곳 일차 영역으로 들어와서 전생 리뷰에 관해 스베덴보리가 보는 중간 영역 다스칼로스와 마르티누스가 바라보는 일차 영역 두 번째 영역에서 ― 본향에서 영계(이차 영역)는 많은 사회로 되어 있다 이차 영역은 어떻게 생겼을까? 이 영역에서 영혼은 무엇을 하는가? 생을 넘나드는 가장 중요한 법칙인 카르마에 대해
본설을 마무리하면서 마치면서
부록│국내 최초 영계 탐사에 대한 간단한 보고 책 속의 책│영계 입문 가이드라인 ― 우리는 몸을 벗고 나서 어찌할 것인가?
서가브라우징
죽음 이후의 삶 2023 / 지음: 디팩 초프라 ; 옮김: 정경란 / 행복우물
죽음, 지속의 사라짐2014 / 지은이: 최은주 / 은행나무
죽음, 지속의 사라짐2014 / 지은이: 최은주 / 은행나무
너무 늦기 전에 들어야 할 죽음학 강의2014 / 최준식 지음 ; 김호연 그림 / 김영사
너무 늦기 전에 들어야 할 죽음학 강의2014 / 최준식 지음 ; 김호연 그림 / 김영사
임종 준비2013 / 최준식 지음 / 모시는사람들
임종 준비2013 / 최준식 지음 / 모시는사람들
죽음의 미래 : 종교학자가 쓴 사후 세계 가이드 북2011 / 최준식 지음 / 소나무
(너무 늦기 전에 들어야 할) 임종학 강의 : 아름다운 삶을 위한 죽음 공부2018 / 지은이: 최준식 / 김영사
(너무 늦기 전에 들어야 할) 임종학 강의 : 아름다운 삶을 위한 죽음 공부2018 / 지은이: 최준식 / 김영사
죽음학 개론2013 / 최준식 지음 / 모시는사람들
죽음학 개론2013 / 최준식 지음 / 모시는사람들
(삶을 여행하는 초심자를 위한)죽음 가이드북2019 / 지음: 최준식 / 서울셀렉션
(삶을 여행하는 초심자를 위한)죽음 가이드북2019 / 지음: 최준식 / 서울셀렉션
존엄한 죽음2017 / 지음: 최철주 / 메디치미디어
같이 빌린 책
있을 법한 모든 것 : 구병모 소설 2023 / 지음: 구병모 / 문학동네
구글 신은 모든 것을 알고 있다 : DNA에서 양자 컴퓨터까지 미래 정보학의 최전선2013 / 정하웅, 김동섭, 이해웅 지음 / 사이언스북스
멘토의 멘토 : 최고를 만든 최고의 가르침2013 / 신용관 지음 / 쌤앤파커스
(간호사가 말하는)간호사2020 / 지음: 권혜림 외 / 부키
(손끝에서 피는) 꽃과 자수2013 / 염경숙 지음 / 중앙북스
자각몽, 또다른 현실의 문 : 멕시코 주술사 돈 후앙이 안내하는 마법의 세계2011 / 카를로스 카스타네다 지음 ; 추미란 옮김 / 정신세계사
참된 존재를 향한 지혜2012 / 김현태 지음 / 철학과 현실사
죽음이 삶에게 : 소노 아야코와 생사학의 대가 알폰스 데켄이 나눈 삶의 가치와 죽음의 본질2012 / 소노 아야코 ; 알폰스 데켄 지음 ; 김욱 옮김 / 리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