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간 발표했던 조선후기의 외교문서와「실무문서」에 관한 논문들을 ‘의사소통’이라는 관점에서 엮어 본 것이다. 임진왜란 이후 조선후기 한일관계는 조선과 일본의 중앙정부인 도쿠가와 막부(德川幕府)가 직접 통교하지 않고 대마번을 통해 간접적으로 통교하는 방식을 취하였다.
화보 책머리에
제1부 조선ㆍ일본 중앙의 의사소통과 외교문서 서장 외교문서와 중앙정부의 의사소통 제1장 외교문서 서계의 존재형태 1. 머리말 2. 외교문서 서계(書契)와 여러 종류의 필사(筆寫) 서계 3. 서계의 외형상 특징 4. 맺음말 제2장 조ㆍ일관계의 안정과 서계 양식의 변화 1. 머리말 2. 통교 재개 직후의 서계 양식(書契式) 3. 1635년 ‘국서개작사건’ 이후 서계 양식의 변화 4. 명ㆍ청 교체 이후 서계 양식의 정착 5. 맺음말 제3장 조선 서계의 ‘위식’ 실태와 개찬 1. 머리말 2. 조선 서계의 위식(違式) 사례 3. 조선 서계의 위식 실태와 개찬(改撰) 4. 맺음말 제4장 일본 서계의 ‘위식’ 실태와 대조선인식 1. 머리말 2. 일본 서계의 서식 3. 일본 서계의 위식 사례와 개찬 4. 일본 서계의 위식 실태와 대조선인식 5. 맺음말 마무리 개찬을 통해서 본 조일간 의사소통의 의미
제2부 외교창구 동래부ㆍ왜관의 의사소통과 「실무문서」 서장 대일본 외교창구 동래부(東萊府) 제1장 동래부와 왜관의 公的 의사소통과 「전령」 1. 머리말 2. 동래부의 일본어 역관과 왜관에의 구두(口頭) 전달 3. 역관을 통한 「전령」(傳令)의 왜관 전달 4. 맺음말 제2장 동래부와 왜관의 私的 의사소통과 역관 명의 문서 「覺」 1. 머리말 2. 동래부 일본어 역관 명의의 문서「覺」과 왜관 3. 역관과 사적 의사소통 경로 4. 맺음말 제3장 동래부 역관 관련 「실무문서」의 수량과 성격 1. 머리말 2. 『분류기사대강』(分類紀事大綱) 소재 「실무문서」의 수량과 수록실태 3. 「실무문서」의 작성 배경 4. 맺음말 제4장 「실무문서」의 유통과 왜관ㆍ대마번 1. 머리말 2. 「실무문서」와 외교문서 3. 「실무문서」의 유통과 왜관ㆍ대마번 4. 맺음말 마무리 「실무문서」와 근세 조일외교의 특징
후 기 참고문헌 찾아보기
조선의 숨은 왕 : 문제적 인물 송익필로 읽는 당쟁의 역사2010 / 이한우 지음 / 해냄출판사
조선사 쩐의 전쟁 : 어디에서도 볼 수 없던 조선인의 돈을 향한 고군분투기 2024 / 지음: 이한 / 유노책주
조선사 쩐의 전쟁 : 어디에서도 볼 수 없던 조선인의 돈을 향한 고군분투기 2024 / 지음: 이한 / 유노책주
조선, 시험지옥에 빠지다 : [청소년] : 팔도 최고의 족집게 선생부터 기상천외한 커닝 수법까지, 처음읽는 조선의 입시 전쟁 2024 / 지음: 이한 / 위즈덤하우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