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제1부
1장 서론: 풍수 사상의 세계관 연구―상징 공간과 신비로운 힘의 측정법 소개
1. 시작하며: 동양으로의 회귀
2. 풍수의 원리와 신비로운 힘
3. 신비로운 힘의 판단과 지세 판단
4. 신비로운 힘의 작용과 상징적 원공간
5. 상징 공간으로서의 양택
6. 끝으로: 동양의 세계관 연구로서
2장 풍수의 비교 문화지―동아시아 속의 오키나와 풍수 지식 연구
1. 서론: 목적과 방법
2. 중국 풍수설의 발생과 주변 문화들의 수용
3. 오키나와의 풍수설 수용과 보급
4. 결론에 즈음하여: 오키나와 풍수설의 특징
3장 풍수 지식과 세계관―한족의 묘지 풍수에 관한 논의를 중심으로
1. 논의의 출발
2. 묘지 풍수의 이념과 지위
3. 묘지 풍수와 기계론적 세계관
4. 묘지 풍수와 인격론적 세계관
5. 요약과 결론
제2부
4장 오키나와의 지상술(Geomantik)과 문화인류학 연구―대화 형식으로 풍수론을 전망하다
1. 문화인류학에서의 풍수론의 의의
2. 오키나와의 게오만틱: 그 역사적 복원
3. 게오만틱에의 접근: 그 연구의 전제
4. 게오만틱의 현재: 야에야마의 예
5장 동아시아의 풍수·조상·출생―대화 형식으로 풍수론을 전망하다(속)
1. 문제 제기: 오키나와 편
2. 풍수·조상·출생: 중국 편
3. 풍수·조상·출생: 한국 편
4. 풍수·조상·출생: 다시 오키나와 편
6장 근원(무투)과 풍수―대화 형식에 따른 오키나와 문중 형성론
1. 동아시아의 풍수·조상·출생(속)
2. 오키나와의 무투와 '풍수'의 논리
3. '풍수'에서 본 '무투'와 '문추'
덧붙이는 장_대담: 동아시아의 풍수 사상
1. 동아시아 '풍수' 문화권
2. 풍수 사상의 근저에 있는 것
3. 신체와 대지―동양의 '과학'
4. '유교 문화권'과 일본
지은이 후기
참고 문헌
각 장의 출처
옮긴이의 말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