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시작, 100여 년의 역사 임시정부 요인 16인의 이야기를 통해 들려주다대한민국 임시정부 탄생 103주년을 맞이하여 국립대한민국임시정부기념관과 청남대대한민국임시정부기념관이 2022년 3월 1일과 4월 11일에 개관했다. 상하이부터 충칭까지 4,000km에 이르는 임시정부의 험난했던 이동 경로를 비롯해 대한민국 헌법과 국회의 뿌리가 된 임시정부의 법통과 임시의정원의 역사 그리고 국가 이름, 연호, 태극기와 같은 국가 상징물이 한눈에 볼 수 있도록 전시되어있다. 황제가 주권을 가진 제국에서 국민이 주인이 된 대한민국 시작의 역사 100여 년을 돌아보면서 앞으로의 100여 년을 준비한다는 목적으로 개관한 대한민국임시정부기념관은 많은 이에게 관심을 받고 있다. 독립운동가로 활동했던 인물들을 기리기 위해 각 지자체에서 지역 출신 독립운동가의 기념관이 세워지고 정부 차원에서도 임시정부 관련 기념관이 개관하는 등 대한민국 임시정부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지금, 누구나 쉽게 우리 역사에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대중적 역사 강의에 힘쓰고 있는 저자 은동진이 우리나라 독립운동사와 대한민국 시작의 역사를 임시정부 요인 16인을 통해 들려준다. 이 책에 소개되는 임시정부 요인은 교과서 속 한 줄 정도로 언급되어있거나 임시정부 주축들을 보좌하며 그 주변에서 제 할 일을 묵묵히 했던 인물들로, 저자는 이들의 이야기를 꾸밈없이 생생하게 들려주기 위해 2년여 동안 현장답사와 각종 사료를 면밀히 조사했다. 이를 통해 우리는 자신의 명예나 이름을 내세우기보다 조국 독립과 임시정부의 통합이라는 목표를 위해 중국 본토와 만주, 연해주 그리고 미국 대륙, 인도와 미얀마에 이르기까지 세계 각지에서 활동했던 임시정부 요인들의 일대기와 활약상을 알 수 있게 되었다.
싸우는 여자들, 역사가 되다 2021 / 글: 김이경; 그림: 윤석남 / 한겨레출판
김준엽의 길 3,200km : 다시 걸은 前 고려대 총장 김준엽의 독립투쟁길 2023 / 지음: 윤영수 / 맥스media(맥스미디어) :
어느 독립운동가의 조국2014 / 윤재현 지음 ; 김현주 엮음 / (주)나남
이름없는 역사 : 잃어버린 시간에서 찾아낸 독립운동가 9인2018 / 지음: 윤종훈 / 이상
한국 독립운동사. 상2008 / 윤진헌 편저 / 한국학술정보
한국 독립운동사. 하2008 / 윤진헌 편저 / 한국학술정보
중국에서 만나는 한국 독립운동사 : 하얼빈에서 광저우까지 중국 대륙에 뿌린 한민족 독립운동 현장 답사기 2018 / 지음: 윤태옥 / 섬앤섬
나는 대한민국 파수꾼입니다 : 조국 독립에 평생을 바친 16인의 대한민국 임시정부 요인들 2022 / 지음: 은동진 / 초록비책공방
이회영과 젊은 그들 : 아나키스트가 된 조선 명문가2009 / 이덕일 지음 / 위즈덤하우스
이회영과 젊은 그들 : 아나키스트가 된 조선 명문가2009 / 이덕일 지음 / 위즈덤하우스
출이독립 : 함께 읽는 독립운동가 신석구 : 3·1운동 100주년 기념2018 / 지음: 이덕주 / 신앙과지성사
조완구 : 대종교와 대한민국임시정부2012 / 이민원 지음 / 역사공간
식민지 청년 이봉창의 고백 : 대일본 제국의 모던보이는 어떻게 한인애국단 제1호가 되었는가2015 / 지은이: 배경식 / 휴머니스트(Human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