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학이 인간의 사회적 행위를 다루는 학문이며 역사교육은 그런 역사학의 성과를 내용으로 하는 것이므로, 역사교육은 본질적으로 시민교육의 성격을 가지고 있다. 그런데도 시민교육으로서 역사교육의 방향이나 방법이 아직 자리를 잡고 있다고 보기는 어렵다. 이 책은 그에 대한 공동 연구의 산물이다.
책을 내면서
1부 시민교육을 위한 역사교육의 방향 1│시민 역사교육의 개념과 내용 구성 원리 국가 역사교육에서 시민 역사교육으로 시민 역사교육의 개념과 쟁점 민주시민을 기르는 역사교육 \ 시민적 관점의 역사교육 역사교육의 본질은 시민교육인가? 2│‘애국주의’를 넘어서 ‘세계시민주의’를 지향하는 역사교육 들어가는 말 애국심 교육을 둘러싼 논쟁과 대안 모색 세계시민주의를 통한 ‘국민’과 ‘세계시민’의 공존 ‘애국주의’를 넘어서 ‘세계시민주의’를 지향하는 역사교육 3│교사의 민주주의 인식과 역사교육 내용 구성 역사교사의 인식 조사의 필요성 역사교육의 민주주의 논의 연구방법 및 조사 대상 역사교사의 반응 분석 역사교육 내용 선정기준으로 민주주의 적용의 가능성
2부 시민적 가치를 살리는 역사교육 1│탐구에서 만남으로: 역사수업의 학생 활동 양상과 민주시민 교육 역사수업의 학생 활동을 왜 논의해야 할까? 역사수업의 학생 활동: 왜? 어떻게? 민주적 공동체 속의 역사수업, 학생 활동을 향하여 민주적 가치를 살리는 역사교육을 기대하며 2│인권의 관점으로 접근하는 초등학교 3·1운동 수업 인권 관점의 3·1운동 학습 가능성 역사교육과 인권교육의 관련성 3·1운동 수업구성 수업실천 및 성찰 3│남북통합을 위한 초등 역사교육 방향 새로운 패러다임의 남북한 역사교육 통합 필요성 초등 사회교과서 북한 관련 서술의 변화 남북한 역사교육 통합을 위한 내용 구성 논리 통합 역사교육 내용 구성 방안 평화활동을 통한 남북한 갈등 해결
3부 민주시민의 역량을 기르는 역사교육 1│삼별초 사례에 나타난 도덕성 양상과 역사학습 들어가는 말 역사이해 속 도덕성을 분석하기 위한 틀: 조너선 하이트의 도덕성 기반 이론 연구 사례: ‘제주 삼별초 이야기’ 학습과 도덕성 양상 역사적으로 맥락화된 윤리적 성찰을 생각하며 | 〈부록〉 제주항몽유적지의 기록화 2│초등학생의 역사텍스트 다원적 관점 인식 역사교육과 다원적 관점 다원적 관점의 개념과 요소 조사방법 학생들의 다원적 관점 이해 다원적 관점의 역사인식을 위한 역사교육 3│비공식적 역사 읽기를 통한 논쟁적 역사인식 논쟁적 역사 읽기의 필요성 비공식적 역사와 논쟁적 역사인식 논쟁적 역사 읽기 학습방안 논쟁적 역사 읽기 수업 사례 논쟁적 역사 읽기를 마치며 4│이봉창의 자아정체성 탐구를 통한 역사학습 자아정체성을 탐구하는 역사교육의 가능성 역사교육에서 정체성 접근 방향 자아정체성 탐구를 위한 인물과 전기물 선정 이봉창의 자아정체성 탐구 절차 이봉창의 자아정체성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찾아보기
(세계사를 바꾼) 인천의 전쟁 : 한반도 800년 전쟁 이야기2013 / 지음: 경인일보특별취재팀 / 다인아트
미셸 드 세르토, 일상생활의 창조2016 / 장세룡 지음 / 커뮤니케이션북스
일요일의 역사가 : 주경철의 역사 산책2016 / 지음: 주경철 / 현대문학
나는 옛것이 좋아 때론 깨진 빗돌을 찾아다녔다 : 추사 김정희의 금석학2015 / 박철상 지음 / 너머북스
중국문자는 고대 한국인이 만들었다2012 / 김용길 지음 / 청연
폐허에 살다 : 발굴해서 역사를 찾는 고고학자들 이야기2016 / 메릴린 존슨 지음 ; 이광일 옮김 / 책과함께
각주의 역사 : 각주는 어떻게 역사의 증인이 되었는가2016 / 앤서니 그래프턴 지음 ; Pierre-Antoine Fabre 불역 ; 김지혜 옮김 / 테오리아
시민교육을 위한 역사교육의 이론과 실천2019 / 공저: 김한종 [외] / 책과함께
상상의 왕국을 찾아서 : 하늘에서 보는 지구사 언덕에서 조망하는 흥망사 쥐구멍에서 듣는 인간사2016 / 지음: 레프 구밀료프 ; 옮김: 권기돈 / 새물결
시간의 탄생 : 순간에서 영원으로 이어지는 시간과 문명의 역사2018 / 지음: 알렉산더 데만트 ; 옮김: 이덕임 / 북라이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