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에 따라 왜 마음이 다른지, 왜 색깔과 방향이 달리 나타나는지, 왜 이름을 붙이는지, 언어에 따라 기억과 사고, 정서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등을 제시한다. 그리고 동양의 언어와 서양의 언어, 남자의 언어와 여자의 언어를 예로 들면서 언어에 따라 마음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마음에 따라 어떻게 언어가 달리 사용되는지 예시함으로써 언어가 마음을 담는다는 것을 입증한다.
목차
제1부 언어는 마음을 담는다 언어의 격이 사람의 격이다 언어는 마음을 담는다 언어는 인간만이 가지고 있다 무엇이 언어인가 모든 언어는 평등하다 언어는 본능이다 언어의 결정적 시기 인류는 언제부터 말을 하게 되었을까? 왜 인간만이 말을 할까? 언어 유전자 폭스피2 (POXP2) 뇌에 자리 잡은 언어영역 언어는 뜻을 명확히한다 언어는 의사소통 수단 이상이다 행동은 언어를 따라간다
제2부 언어의 틀 안에서 사고한다 언어는 자신의 세계관을 가지고 있다 언어가 있어야 개념이 생긴다 이름이 있어야 색 구분도 쉽다 음향도 언어를 통해 들린다 공간어가 방향을 결정한다 숫자체계는 인지에 영향을 준다 언어에 따라 기억도 다르다 생존에 필요한 언어는 짧다 보수주의자는 명사를 좋아한다 언어의 틀 안에서 사고한다 언어가 사고를 결정한다? 언어는 정서에도 영향을 미친다 동서양의 언어와 마음 남녀의 언어와 마음
참고문헌
서가브라우징
언어는 인권이다2017 / 지은이: 이건범 / 피어나
언어는 인권이다2017 / 지은이: 이건범 / 피어나
문자메시지는 언어의 재앙일까? 진화일까?2011 / 데이비드 크리스털 지음 ; 이주희 ; 박선우 옮김 / 알마
문자메시지는 언어의 재앙일까? 진화일까?2011 / 데이비드 크리스털 지음 ; 이주희 ; 박선우 옮김 / 알마
언어와 권력2011 / 노먼 페어클럽 지음 ; 김지홍 뒤침 / 경진
현대 한국사회의 언어문화 2021 / 저자: 왕한석, 조숙정, 안준희, 김주관, 강나영, 최진숙, 박종현, 박성열, 애드리엔 로, 최이진, 강윤희, 니콜라스 하크니스, 고경난, 마이클 프렌티스 ; 편저자: 강윤희 /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서른, 외국어를 다시 시작하다 : 심리학자가 말하는 어른의 외국어 학습 전략2016 / 리처드 로버츠, 로저 쿠르즈 지음 ; 공민희 옮김 / 프리렉
언어는 마음을 담는다 : 언어에 대해 우리가 몰랐거나 잊고 있던 것들2018 / 지은이: 박지영 / 바른북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