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중국 삼국시대에 펼쳐진 서른일곱 번의 전투를 전술도와 그에 맞는 사자성어, 등장인물을 조화롭게 엮었다. 적벽대전, 관도대전, 박망성전투, 와구관전투 등 위, 촉, 오가 펼친 주요전투를 상세하게 그려넣은 전술도는 현장감을 더해준다. 어떤 장수와 군사가 어디로 와서 어디서 접전을 벌였으며, 어떻게 진격하고 패퇴했는지를 도면으로 상세하게 그려 전투에 대한 궁금증을 풀어준다.
목차
권두한시(卷頭漢詩) - 취월춘풍
들어가는 글 - 삼국을 뒤흔든 서른일곱 번의 전투, 생생하게 조명
01 유비가 처음 승리한 청주성(靑州城)전투
02 조조의 의병(疑兵)이 첫 전투에 참가한 형양성(滎陽城)전투
03 동탁 사망 후 부하가 일으킨 이각(李傕), 곽사(郭汜)의 난
04 조조와 여포의 복양성(澓陽城) 밖 전투
05 조조와 여포의 복양성(澓陽城) 안 전투
06 조조와 여포의 마릉산(馬陵山)전투
07 조조와 유표, 장수 연합군이 벌인 안중(安衆)전투
08 유비와 조조의 서주(徐州)전투
09 조조와 관우의 하비(下邳) 토산(土山)전투
10 관운장(關雲長)의 오관참장(五關斬將)
11 조조와 원소의 관도대전(官渡大戰) -백마, 연진전투-
12 관도대전(官渡大戰) -공방전-
13 관도대전(官渡大戰) -병참전(兵站戰)-
14 관도대전(官渡大戰) -오소전(烏巢戰)-
15 관도대전(官渡大戰) -대반전(大反轉)-
16 창정(倉亭)전투 -십면매복(十面埋伏)-
17 유비와 조조의 여남(汝南)전투
18 서서가 조조군을 무찌른 신야(新野)전투 -제 1차-
19 제갈량이 처음 조조군을 물리친 박망성(博望城)전투
20 서서가 조조군을 무찌른 신야(新野)전투 -제 2차-
21 조조와 주유가 벌인 삼강구(三江口)전투 -수전 (水戰)-
22 조조와 주유가 벌인 적벽대전(赤壁大戰) -수전(水戰)-
23 조조와 주유가 벌인 적벽대전(赤壁大戰) -육전(陸戰)-
24 방통과 장임 간 낙성(雒城)전투 -낙봉파(落鳳坡)-
25 제갈량과 장임이 벌인 낙성(雒城)전투 -공성전(攻城戰)-
26 제갈량과 장임이 벌인 낙성(雒城)전투 -금안교(金雁橋)-
27 장비와 장합의 와구관(瓦口關)전투
28 황충과 장합의 한중(漢中)전투 -가맹관(葭萌關)-
29 유비와 육손의 이릉(彛陵)전투
30 제갈량의 남만(南蠻)정벌
31 사마의(司馬懿)와 마속(馬謖)의 가정(街亭)전투
32 제갈량(諸葛亮)과 학소의 진창(陳倉)전투
33 제갈량과 사마의의 무도(武道) 음평(陰平)전투
34 제갈량과 사마의의 한중(漢中) 기산(祁山)전투
35 제갈량과 사마의의 북원(北原) 위교(渭橋)전투
36 강유와 등애의 우두산(牛頭山)전투
37 강유와 등애의 단곡(短曲)전투
맺는 글 - 전쟁은 우리에게 무엇인가
권미시조(卷尾時調) - 적벽을 보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