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또 하나의 유럽, 발칸
제1장 슬로베니아 -동유럽으로의 EU 확대, EU와 유로존 가입 이후 슬로베니아
1. 서론
2. EU와 유로존 발전과정, 동유럽으로의 확대
3. 슬로베니아의 EU와 유로존 가입과정과 그 내용
4. EU와 유로존 가입 이후 슬로베니아의 기대효과와 현황
4.1. EU와 유로존 가입에 따른 부정적 효과
4.2. EU와 유로존 가입에 따른 긍정적 효과
5. 결론
제2장 크로아티아 -아드리아해의 보고, 크로아티아 관광산업의 현황과 그 특징
1. 서론
2. 크로아티아 관광 산업의 현황
3. 크로아티아 관광 산업의 특징과 그 내용
3.1. 환경 친화적 요소
3.2. 자연과 지리적 요소
3.3. 고대 문화와 민속 유산
3.4. 전통 축제와 요리
4. 결론
제3장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 보스니아 무슬림의 기원과 민족적 특징
1. 서론
2. 보스니아 무슬림의 역사적 형성배경
2.1. 중세 보스니아와 보스니아 교회
2. 오스만 터키 하 보스니아 무슬림 형성과정
3. 보스니아 무슬림의 민족정체성 형성과정
3.1. 19세기 민족주의 시대의 보스니아 무슬림
3.2. 사회주의 체제 하에서의 보스니아 무슬림
4. 결론
제4장 세르비아 -세르비아니즘과 코소보
1. 서론
2. 코소보 민족갈등에 대한 이해: 세르비아니즘의 형성배경과 내용
3. 코소보 민족갈등의 양상과 전개과정
3.1. 사회주의 유고슬라비아연방 하에서 코소보 민족갈등의 양상
3.2. 코소보 전쟁(1999)의 배경과 의미
3.3 코소보 전쟁 후 코소보와 코소보 평화 협정의 이행 현황
4. 결론
제5장 몬테네그로 -세르비아로부터의 독립, 몬테네그로의 역사와 향후 전망
1. 서론
2. 세르비아니즘의 형성배경과 이론적 특징
3. 역사 속에 비친 몬테네그로와 세르비아
3.1. 중세 두클리야(제타) 공국과 세르비아
3.2. 근대 몬테네그로 독립 왕국과 세르비아니즘
4. 몬테네그로 독립 움직임의 배경과 향후 전망
4.1. 몬테네그로 독립 움직임의 주요 배경과 진행과정
4.2. 독립 국가로의 몬테네그로
5. 결론
제6장 마케도니아 -마케도니아 민족 정체성을 둘러싼 문화 갈등과 그 양상
1. 서론
2. 마케도니아 민족갈등의 역사적 전개과정
2.1. 고대·중세 마케도니아
2.2. 근대 마케도니아
2.3. 사회주의 유고슬라비아 연방 하에서의 마케도니아
3. 마케도니아의 문화 갈등 양상과 그 의미
3.1. 대외적 문화갈등
3.2. 대내적 문화갈등
4. 결론
제7장 알바니아 -알바니아 민족주의의 기원과 그 특징
1. 서론
2. 알바니아 민족의 기원과 이슬람화 과정
3. 19세기 민족주의 시대와 알바니아
4. 20세기 코소보 내 알바니아 민족문제의 현황과 그 양상
5. 결론
제8장 불가리아 (1) -슬라브 민족의 자부심, 고대 불가리아어
1. 고대 불가리아어와 그 역사
1.1. 기독교의 수용
1.2. 고대 불가리아어의 창제와 전파
2. 슬라브 문어의 시작, 고대 불가리아어
2.1. 고대 불가리아어 대용어로서의 고대 교회 슬라브어란 무엇인가
2.2. 고대 교회 슬라브어 문자: 글라골리짜와 끼릴리짜
2.3. 고대 교회 슬라브어 대표 문헌
2.4. 슬라브 문자문화의 전파와 그 특성
3. 진보와 보수의 공존: 현대 불가리아어
3.1. 비잔틴, 오스만-터키 제국의 지배와 독립기
3.2. 19세기 언어 발달의 극성기
3.3. 제2차 정서법 개혁과 현대 불가리아어의 출현
3.4. 고대 불가리아어와 발칸언어들의 상관관계
제9장 불가리아 (2) -문화 지리학적 관점에서 바라 본 불가리아
1. 일생의례
1.1. 출생 의례
1.2. 결혼 의례
1.3. 장례 의례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