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유정의 문학광장> 1~2부에서는 다양한 접근 이전에, 기본에 충실한 김유정 소설 연구들을 담았다. 소설의 내적 분석과 더불어 외적 요소들을 두루 살폈다. 먼저, 김유정의 소설에 시뮬레이션 이론을 적용해 작품이 독자에게 주는 효용가치를 추적한다.
목차
책머리에
제1부 김유정 소설의 인식지평 한상무 : 김유정의 「땡볕」론—시뮬레이션 개념을 중심으로 1. 머리말 2. 사회 세계의 시뮬레이션으로서의 서사 문학과 김유정의 소설들 3. 시뮬레이션 개념에 의한 「땡볕」의 해석적 시론 4. 맺음말
모희준 : 김유정 작품에 나타나는 ‘죽음’의 양상 고찰—단편소설 「노다지」와 「땡볕」을 중심으로 1. 서론 2. 「노다지」와 「땡볕」에 나타나는 죽음의 양상 3. 결론
정주아 : 신경증의 기록과 염인증자(厭人症者)의 연서쓰기—김유정 문학에 나타난 죽음충동과 에로스 1. 충동과 신경증, 그리고 글쓰기 2. 운명을 향한 적의(敵意)와 질서 밖의 세계-노동하지 않는 농부, 매춘하는 아내 3. 신경증의 기록-일상의 폭력과 사디즘 4. 염인증자(厭人症者)의 연서쓰기
제2부 김유정 소설과 사회인식 김형규 : 식민주의 질서와 농토의 상동성 혹은 거리—농민 형상으로 다시 본 김유정 소설의 의미 1. 당대 ‘현실’로서 농민의 삶과 ‘땅’의 문제 2. 농토의 박탈과 농사꾼의 몰락 3. 식민 수탈구조와 농민적 권리 4. 공동체의 붕괴와 경제단위로서의 가족 5. 현실비판과 전통적 가치의 분화
홍순애 : 김유정 소설의 半가족주의와 ‘家’ 형성·존속의 이데올로기 1. 서론 2. ‘家’ 형성의 욕망과 식민지 자본구조의 모순 3. ‘家’ 존속의 욕망과 사법 제도에 대한 비동화 전략 4. 결론
제3부 김유정 소설과 언어 문한별 : 계량적 방법론을 통한 김유정 소설 어휘의 통계적 연구 1. 문제제기 2. 김유정 소설 어휘의 대별적 특징 3. 김유정 소설 어휘의 통계적 특성과 활용 가능성
박진숙 : 김유정과 이태준—자생적 민족지와 보편적 근대구축으로서의 조선어문학 1. 서론 2. 소설 문체로서의 표준어와 방언 3. 언어의 운용방식과 소설 창작 4. 일제 식민정책의 재현 혹은 전유 5. 결론
장혜련 : 김유정 소설의 대화 양상 연구 1. 들어가며 2. 여성 인물의 발화 삭제와 어긋난 대화 3. 유아적 퇴행 의식과 수신 오류 4. 전하지 못한 편지, 답장 못 받는 엽서 5. 나오며
제4부 김유정 소설과 교육 정호웅 : 전상국의 장편 유정의 사랑과 ‘김유정 평전’ 1. 머리말 2. 서자설과 감성적 체질론 3. 소설쓰기의 기원 4. 창작방법론 5. 인물 성격과 해학 6. 결론
김명석 : 교과서 속의 「동백꽃」 1. 교과서 속의 소설, 소설의 교과서 2. 2009 개정 교육과정 중학 국어 교과서의 「동백꽃」 비교 3. 결론
최선영 : 김유정의 문학 작품과 독서토론 교육의 의의 1. 들어가며 2. 대학 교양교육에서 독서토론 교육의 의미와 원리 3. 김유정 소설을 통한 독서토론 수업 사례와 의의 4. 나가며
제5부 김유정의 수필 세계 김상태 : 김유정의 수필
서동수 : 김유정 문학의 유토피아 공동체와 크로포트킨의 상호부조론 1. 서론 2. 유토피아 공동체로서의 고향 3. 유토피아 공동체와 크로포트킨의 상호부조론 4. 근대 비판과 문학의 길 5. 결론
제6부 김유정 소설과 그림 김정화 : 김유정 신문연재소설의 삽화 연구 1. 서론 2. 신문연재소설과 삽화의 관계 양상 3. 김유정 신문연재소설의 삽화 분석 4. 결론
제7부 김유정과 문화콘텐츠 이금란 : 김유정의 「봄·봄」과 HD TV <봄, 봄봄>의 서사변용 연구 1. 들어가는 말 2. 서사의 재현과 확대 3. 서술 양태의 변용 4. 맺는 말
조선인 일본어소설 연구 : 일제강점기 한국문학의 거세된 정체성 재건을 위하여 = (A)study for reviving Japanese literature by Koreans : retrieving the lost identity of Korean literature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of Korea2010 / 김순전 [외]공저 / 제이앤씨
'중심'의 회복을 위하여 = On the way to the axis mundi, the sacred center of the world reading comtemporary novels through myth and symbol : 신화와 상징으로 현대소설 읽기2014 / 민혜숙 [지음] / 소명
쾌족, 뒷담화의 탄생 : 살아있는 고소설2014 / 지음: 이민희 / 푸른지식
텍스트와 콘텍스트, 혹은 한국 소설의 현상과 맥락 : 손정수 평론집2016 / 지은이: 손정수 / 자음과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