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날 대중문화와 콘텐츠의 발전은 뉴미디어의 등장과 한 짝을 이루고 있다. 한국문화가 오늘날의 한 흐름인 콘텐츠와 어떻게 조우하고 어떠한 형상을 낳았는지 알아보고, 이를 학생들과 다시 소통하기 위해 쓰여진 책이다.
목차
머리말
I. 문화콘텐츠 이론 / 홍순석, 여지선, 하성란 1. 문화콘텐츠와 디지털 콘텐츠의 개념 2. 스토리텔링과 콘텐츠 기획 3. 콘텐츠의 양상 1) 대중문화와 문화콘텐츠 (1) 만화 (2) 애니메이션 (3) 출판 (4) 음악과 미술 (5) 영화 2) 전통문화와 문화콘텐츠 (1) 박물관 (2) 축제 (3) 문화원형 3) 디지털 콘텐츠 (1) 모바일 콘텐츠 (2) 게임콘텐츠 (3) 캐릭터 (4) e-Book, e-learning
II. 문화콘텐츠 실제 1. 아동/교육콘텐츠 1) 민요와 현대동시와의 소통과 인문콘텐츠의 향방 / 여지선 2) 건강한 다문화사회를 위한 동화 [인어공주]의 스토리텔링의 방향 / 오정미 2. 한류/역사콘텐츠 1) 대중영상매체를 통해 바라본 한국 음식문화의 재인식 / 김호연 2) 역사콘텐츠의 중요성과 역사콘텐츠 기획-형제국의 나라 터키(Turkey)콘텐츠를 중심으로- / 김기덕 3. 문학콘텐츠 1) 문인의 그림 콘텐츠 / 장성욱 2) 고전문학 콘텐츠화 현황과 방안 / 신명숙 4. 디지털콘텐츠 증강현실(AR)과 어린이디지털콘텐츠 / 서동수 5. 문화콘텐츠의 반성과 전망 21세기 사회문화적 상황과 고전문학 연구의 과제-자본과 욕망의 시대, 존재와 가치의 근원으로- / 신동흔
저자 소개
서가브라우징
말맛으로 보는 한국인의 문화2013 / 정경조, 정수현 지음 / 삼인
말맛으로 보는 한국인의 문화2013 / 정경조, 정수현 지음 / 삼인
살맛 나는 한국인의 문화2016 / 지음: 정경조, 정수현 / 삼인
다시, 한국인 : 한국학의 대가 최준식 교수가 이 시대 한국인에게 전하는 희망 메세지2016 / 지음: 최준식 / 현암사
코리아타운과 한국문화 = Koreatown and Korea culture2013 / 지은이: 임영상 외 / 북코리아
한국사회의 문화풍경 : 문화 징후에 대한 사회학적 내시경 탐사록2013 / 이수안 [외 8인] 지음 / 그린
한국사회의 문화풍경 : 문화 징후에 대한 사회학적 내시경 탐사록2013 / 이수안 [외 8인] 지음 / 그린
한국문화와 콘텐츠 = Korea culture and content2016 / 지은이: 홍순석, 여지선, 하성란, 오정미, 김호연, 김기덕, 장성욱, 신명숙, 서동수, 신동흔 / 한국문화사
차이나 유스 컬처 : 새로운 중국을 이끌어갈 젊은이 문화를 말하다2017 / 지음: 예룬 더클룻, 앤소니 펑 ; 옮김: 김정아 / 시그마북스
차이나 유스 컬처 : 새로운 중국을 이끌어갈 젊은이 문화를 말하다2017 / 지음: 예룬 더클룻, 앤소니 펑 ; 옮김: 김정아 / 시그마북스
상하이 모던 : 새로운 중국 도시 문화의 만개, 1930-19452007 / 리어우판 지음 ; 장동천 외 옮김 / 고려대학교출판부
중국, 축제인가 혼돈인가 : 오늘의 중국 대중문화 읽기2002 / 멍판화 지음 ; 김태만 ; 이종민 공 옮김 / 예담
중국, 축제인가 혼돈인가 : 오늘의 중국 대중문화 읽기2002 / 멍판화 지음 ; 김태만 ; 이종민 공 옮김 / 예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