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들어가며 단숨에 읽는 한국 근대문학사를 위하여
1장 근대계몽기(1894~1910) 왕조의 몰락과 근대국가를 향한 열망 속에서 신문학의 씨앗을 뿌리다
◦ 시대 개관
◦ 문명개화와 자주독립의 열망을 노래하다-근대계몽기 시(가)
◦ 신소설과 역사전기물로 이야기의 새 장을 열다-근대계몽기 소설
2장 1910~1919 식민지 근대의 확장과 무단통치의 강화 속에서 근대문학이 출발하다
◦ 시대 개관
◦ 자유로운 리듬으로 개인의 정서를 노래하다-1910년대 시
◦ 자아 각성과 근대문명을 외쳤으나 식민지 현실과 유리되다-1910년대 소설 1
◦ 식민지 현실의 모순에 눈을 떠 사실적으로 그려 내다-1910년대 소설 2
3장 1919~1925 근대문학, 본격적 성장을 위한 토대를 현실에서 발견하다
◦ 시대 개관
◦ 청년 시인들, 감상적 비애와 좌절을 토로하다-1919~1925 시 1
◦ 전통 정서를 계승하고 사랑의 윤리를 호소하다-1919~1925 시 2
◦ 식민지 현실에 눈을 뜨고 근대소설의 기틀을 마련하다-1919~1925 소설
4장 1925~1935 근대문학, 리얼리즘과 모더니즘으로 식민지 현실에 맞서다
◦ 시대 개관
◦ 카프 소설
◦ 카프 시
◦ 농민의 애환과 농촌의 현실에 주목하다-농민ㆍ농촌소설
◦ 식민지 근대의 부조리를 문제 삼다-모더니즘 소설과 시
◦ 근대문학, 본격 장편소설 시대를 열다-1930년대의 대표적 장편소설들
5장 1935~1945 일제 파시즘에 맞서 시대를 고뇌하다
◦ 시대 개관
◦ 지식인(전향) 소설
◦ 가족사연대기소설
◦ 역사소설
◦ 근대에 대한 또 다른 저항 방식-이태준과 김동리
◦ 생명파 시
◦ 북방 시인의 시-백석과 이용악
6장 해방기 해방의 감격을 노래하며 새로운 민족문학으로 부활하다
◦ 시대 개관
◦ 해방기 시
◦ 해방기 소설
나오며 오늘의 한국문학
특별 섹션
◦ 대중문학-일상의 숨은 욕망을 들추어내다
부록
◦ 작가 소개
◦ 작품 해제
◦ 한국 근대문학사 연표
◦ 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