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입전형이 다양화되면서 학생들의 체험활동도 갈수록 중요해지고 있다. 현 상황에서 소논문쓰기는 입학사정관제에 대비하여 매우 의미 있는 활동 결과물이라 할 수 있다. 한편의 소논문을 통해 학생의 지적 성숙도도 파악할 수 있으며, 연구 분야에 대한 학생의 관심과 애정도 발견할 수 있다. 더불어 대입만을 위한 논술공부가 아닌 체계적인 논증적 글쓰기를 경험해 볼 수 있다는 점에서도 큰 가치가 있다.
목차
머리말
PART 1 꿈을 실현하는 최고의 공부, 소논문 쓰기 1. 나만의 질문, 스스로 생각하는 힘 2. 진로를 찾아 꿈을 실현하는 최고의 공부 3. 시험공부 하기도 힘든데 소논문을 쓰라고?
PART 2 무작정 따라하는 소논문 1. 논문이란 무엇인가? 2. 무작정 따라하는 단계별 소논문 쓰기
PART 3 아는 만큼 보이는 소논문 1. 주제, 너를 잡고 싶다! 2. 문헌 검토하기 3. 연구 방법 구상하기 4. 인용하기와 논문 윤리
PART 4 소논문에 필요한 글쓰기 1. 소논문 글쓰기를 잘하려면 2. 소논문의 문장은 어떻게 쓰는 걸까 3. 목차 만들기 4. 설문 문항 만들기
PART 5 소논문 쓰기 여건 조성 1. 소논문 쓰기를 시작하기 위한 여건 조성 2. 소논문을 쓰는 시간과 공간의 확보 3. 전문 논문 구독 웹사이트의 확보 4. 소논문(과제 탐구) 대회와 소논문 읽기 대회 개최
부록 1. 소논문 쓰기 교수학습 과정안(90분 수업 예시) 2. 화장품 소논문팀 활동일지 3. 지도교사의 인터넷 카페 : '장미과학논술' 활용 4. 학생 소감문
에필로그 참고문헌
서가브라우징
인생을 쓰는 법 : 살아갈 나를 위해 살아온 날을 쓴다2013 / 나탈리 골드버그 지음 ; 한진영 옮김 / 페가수스
세상에 없는 풍경 : 문학으로 가는 느린 길2019 / 지음: 권정우 / 파라북스
그럼에도 작가로 살겠다면 : 작가들의 작가에게 듣는 글쓰기 아포리즘2017 / 지은이: 줄리언 반스 ; 커트 보니것 ; 스티븐 킹 외 ; 엮은이: 존 위너커 ; 옮긴이: 한유주 / 다른
글쓰기로 나를 찾다 : 함께 쓰기로 인생을 바꾼 사람들2017 / 숭례문학당 엮음 ; 지은이: 권용균, 권정희, 김선화, 김수환, 김승호, 김인경, 김한영, 김혜연, 김혜정, 류경희, 민정선, 박찬호, 손문숙, 우부경, 이승은, 이정순, 이진희, 이효임, 장영미, 정은정, 조경혜, 지영아, 홍도의, 황명구 / 북바이북
와세다 글쓰기 표현 강의2018 / 지음: 기타무라 가오루 ; 옮김: 조소영 / 엑스북스
글쓰기가 필요하지 않은 인생은 없다 : 하루에 하나, 나를 치유하고 단단하게 만드는 글쓰기 테라피2017 / 지음: 김애리 / 카시오페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