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국어과 교사 전문성 신장 노트 시리즈를 펴내며
제1부 왜 교육과정 상세화 작업을 역추적하는가
1. 왜 ‘교과서’인가
2. 국어과 교사가 획득해야 할 능력: 교과서를 중심으로
3. 이 책의 개관
1) 어떤 사례를 선택했는가
2) 교재론/교과서론으로서의 목표를 명확하게 드러내 보이는 체제와 기술
4. 이 책의 활용법
제2부 교육과정 상세화 작업의 역추적
Ⅰ. 국어교육의 핵심 속성을 체재로 읽어내기
1. 사례 안내
2. 김 선생님의 교과서 재구성
1) 교과서 체재는 수업 준비와 관련이 없지 않을까
2) ‘읽는 방법’은 어떤 방식으로 수업을 해야 하는가
3) 대단원 학습 목표 중 ‘학습을 위한 읽기’가 과연 국어과에 부합하는 내용인가
3. 교육과정 상세화 작업 역추적
1) 체재 설정의 논리 역추적
(1) 책 전체의 대단원 구성 원리
(2) 활동 체재
2) ‘읽기 기능 향상’을 위한 장치 설정의 논리 역추적
(1) 소단원 체재 구성의 논리 역추적
(2) 제재 선택의 논리 역추적
(3) 활동 구성의 논리 역추적
3) 최신 교육 내용 실현태를 통한 국어과적 본질 역추적
4. 원리의 재확인
Ⅱ. 학습 목표가 제재나 활동의 의미를 이해하는 거점임을 이해하기
1. 사례 안내
2. 김 선생님의 교과서 재구성
3. 교육과정 상세화 작업 역추적
1) 활동 구성의 논리 추적하기
2) 제재 선택의 논리 추적하기
(1) 활동 하나하나를 점검함으로써 제재 선택의 논리 역추적하기
(2) 학습 활동 전체 구조를 조회함으로써 제재 선택의 논리 역추적하기
4. 원리의 재확인
Ⅲ 성취 기준의 의미가 학습 목표 간 연계를 통해 구체화됨을 이해하기
1. 사례 안내
2. 김 선생님의 교과서 재구성
3. 교육과정 상세화 작업 역추적
1) 활동 분석을 통한 학습 목표의 의미 추적하기
2) 활동 분석을 통한 제재 선택의 논리 추적하기
3) 활동 선택의 논리 판단하기
4. 원리의 재확인
Ⅳ. 국어교육학 이론에 기반해 성취 기준 의미를 이해하기
1. 사례 안내
2. 김 선생님의 교과서 재구성
3. 교육과정 상세화 작업 역추적
1) 텍스트 선정의 논리 추적하기
2) 용어 선택의 논리 추적하기
3) 소단원 연계 및 내용 구체화의 논리 추적하기
4. 원리의 재확인
집필 후기
참고 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