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한국어판 서문
프롤로그 예술의 탄생
근대적 개념인 '예술'
'예술'이라는 술어의 성립
'고전적' 예술관과 '하비투스'
예술과 학문의 분리
기술의 탈하비투스화
이후의 과제
제1장 창조
1. 창조의 유비와 가능적 세계
자연의 규범성
기능적 세계 이론
창조의 유비
가능적 세계의 한정과 신화적 세계의 위치
예술작품의 의의와 최선관
볼프학파의 영향
2. 자연의 규범성 해소
구상력의 창조성
자연의 규범인 예술가
대지의 역설
제2장 독창성
고전적 용례 검토
'권위'를 벗어난 해방과 독창성의 성립
1. 지리상의 발견과 독창성
베이컨에 의한 권위 비판
'지리상의 발견'이라는 비유
자연의 다양성이라는 원천
타고난 능력의 다양함이라는 원천
2. 독창성과 범례성
범례적인 독창성
잠정적인 가치로서의 독창성
범례성과 독창성의 대립
독창성의 역설
제3장 예술가
'제2의 창조자' 혹은 '예술가의 부재'
1. 표상에서 공감으로
원상-모상 이론
시화 비교론
시의 비모방성
표상과 공감
2. 표상에서 '표상하는 주체'로
완전성의 미학
혼합감정 이론
안전성 미학의 변용
주체적 숭고와 예술가
3. 근대의 반성적 지성과 예술가
주변의 예술가 탄생
반근대적인 소박함
정감 시인과 반성적 지성
장르의 전도
제4장 예술작품
1. 근대의 기술관
아리스토텔레스주의의 기술관
근대적인 기술관의 성립
자연의 무한성
2. 자연과 기술의 교차
구상과 우연의 사이
'인위적인 무한'
미의 균형성 비판
비기계적인 '인위적인 것'
부재하는 예술작품
'주체의 자연'
'자연의 은총'
제5장 형식
루소의 반형식주의
1. 회화의 혼, 색체
회화의 기초인 선묘
유-종차 혹은 실체-우유성
'실체 형상'인 채색
2. 음악의 자기 완결성
매체의 상이점과 모상의 가치
성악에서 자연의 '굴곡'
'체계'의 기악
3. 자기 자신과 장난하는 언어
말장난 혹은 '언어의 진지한 측면'
언어와 그 음악적인 정신
의지와 필연의 틈새
에필로그 예술의 종언
아르스토텔리스의 목적론적 예술사관
전롱기노스의 [숭고에 대해서]와 예술의 '쇠퇴'
완성과 몰락
헤겔과 예술 종언론
규범의 해소와 비절대성
반복되는 종언론
인간의 자율성과 예술작품의 자율성
부정의 변증법에서 독창성 위기로
예술사의 종언
예술세계의 역사성
문맥의 재편을 향해
저자후기
저자 주
문헌 주
문헌표
옮긴이의 말
인명·서명 색인
예술작품 색인
사항 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