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서 론
1. 동물자원 미생물학의 개요
1.1 동물자원 생산 분야와 미생물
1.2 동물자원 미생물의 분야
2. 생균제 미생물
3. 동물 식품위생 위해요소중점관리기준(HACCP)과 미생물
※ 참고문헌
제2장 미생물 분리 및 보존
1. 미생물 분리
1.1 미생물의 순수분리법
1.2 미생물의 구조
1.3 혐기성 세균분리
2. 기능성 유용미생물의 선별
2.1 생물물리학적 선별
2.2 생화학적 선별
2.3 생물학적 선별
3. 미생물 보존
3.1 미생물의 준비
3.2 단기보존법
3.3 장기보존법
3.4 미생물 보존기관
4. 미생물 분류 및 동정
4.1 형태학적 특성에 따른 미생물의 분류
4.2 생리학적 특성에 따른 미생물의 분류
4.3 생화학적 특성에 따른 미생물의 분류
4.4 분자 생물학적 특징에 따른 미생물 분류
4.5 Bergey의 세균학 분류요람에 의한 분류
※ 참고문헌
제3장 혐기성 미생물의 이용기술과 산업적 이용
1. 혐기성 미생물
1.1 혐기성 미생물이란
1.2 혐기성 미생물의 분포
1.3 동물의 소화기관 내의 혐기성 미생물
2. 혐기성 미생물의 이용기술
2.1 혐기성 미생물의 배양장치
3. 동물자원 분야에서 혐기성 미생물의 이용과 전망
3.1 동물 생산성 향상을 위한 혐기성 미생물의 이용
3.2 지속가능한 친환경 동물자원 산업을 위한 혐기성 미생물의 이용
4. 환경정화 산업에의 혐기성 미생물의 이용
5. 혐기성 미생물을 이용한 유용물질의 생산
※ 참고문헌
제4장 유용 미생물균주의 생산 및 이용
1. 발효미생물의 생산과 응용
1.1 서론
1.2 발효란?
1.3 발효의 종류
1.4 대사과정의 이해: 1차 대사와 2차 대사
1.5 미생물 발효의 장ㆍ단점
1.6 유용 미생물 및 미생물 대사산물의 응용
1.7 균주의 개량
1.8 미래의 동물자원산업을 위한 기능성 미생물의 역할
2. 기능성 미생물의 특허 취득
2.1 서론
2.2 특허의 중요성
2.3 미생물 발명 심사기준
2.4 특허취득 절차
2.5 미생물 기탁 제도
2.6 명세서의 기재방법
2.7 특허요건
2.8 특허로 인정받을 수 없는 발명
3. 미생물 종균 관리
3.1 종균관리의 중요성 및 목적
3.2 종균 확보 및 관리 단계
3.3 종균이 갖추어야 할 일반적인 조건
3.4 종균의 종류
3.5 균주의 일반적인 보존기간
3.6 종균의 일반적인 제조법
3.7 종균 관리시의 주의할 점
3.8 균주 보관 및 분양기관
※ 참고문헌
제5장 유산균의 생산 및 응용
1. 프로바이오틱스와 장내미생물
1.1 유산균과 장내미생물의 초기연구
1.2 유산균의 특성
1.3 유산균과 대사산물
2. 유산균의 생산
2.1 유산균의 생육과 환경조건
2.2 유산균의 보관
2.3 유산균 스타터의 생산
2.4 유산균 스타터의 저장
2.5 무균조건에서의 컬쳐 제조공정
※ 참고문헌
제6장 생균제의 기능과 이용
1. 생균제
1.1 생균제의 정의와 종류
2. 생균제의 작용기전
2.1 동물 장내에서 미생물 서식
2.2 가축의 숙주세포와 미생물의 상호작용
2.3 생균제의 작용기전 및 기능
3. 생균제 선택과 사용
3.1 생균제의 선택
3.2 생균제의 사용
4. 생균제 배양 및 제품화
4.1 생균제의 배양
4.2 생균제의 제품화 공정
4.3 생균제의 품질관리
4.4 농가형 발효사료 제조와 이용
5. 사양실험을 통한 생균제의 이용효과
5.1 단위동물
5.2 반추동물
5.3 수산분야
※ 참고문헌
제7장 동물용 의약품으로서 생균제의 개발과 이용
1. 서 론
2. 동물용 의약품으로서 생균제의 개발
2.1 동물용 의약품 관련 법규 검토
2.2 동물약품으로서 생균제
3. 동물약품으로 사용되는 생균제 시장(2006년 기준)
4. 동물약품의 개발
4.1 충분한 사전검토 필요
4.2 제품화에 대한 타당성 검토
4.3 제품화 계획서 작성
4.4 제품화의 결정
4.5 제품화의 실천
4.6 신제품 생산 및 출시
4.7 제품의 사후관리(반응 점검)
5. 결 론
부 록
1. 동물약품으로서의 생균제
1.1 신고 요령
1.2 관련 법령
2. 보조사료
2.1 관련 법령
2.2 국내ㆍ외 허가된 생균제
찾아보기
Inde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