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제1장 들머리
1. 근대주체 ‘소년’이라는 이름
2. 소년소설에 대한 몇 가지 질문
제2장 ‘소년’과 소년소설의 특징
1. ‘소년(少年)’의 사용 양상과 범주
1) ‘소년’의 사용과 ‘소년 상(像)’
2) ‘소년’의 범주
2. ‘소년소설’의 양식적 특성
1) 동화
2) 소년소설
제3장 한국 소년소설의 형성과 발생
1. ‘소년’ 담론과 ‘소년’의 위상
1) ‘소년’ 담론의 형성
2) 근대 주체 ‘소년’의 위상
2. 번안물의 성격과 영향
1) ‘계몽’ 선택과 번안
2) 인물과 탐험이야기 번안
3) 지혜와 교훈이야기 번안
3. 소년소설의 발생
1) 새별
2) 어린이
3) 신소년
제4장 한국 소년소설의 전개과정
1. 근대 문화운동과 ‘새 소년’
1) 초기 소년소설과 근대담론
2) 담론의 수용과 제도권 교육
3) ‘정(情)’의 적용과 근대 규율의 대립
4) 규율과 ‘정(情)’의 투영-새 소년
2. 프롤레타리아 이데올로기 지향과 ‘투쟁 소년’
1) 프로 아동문학의 시작과 방향
2) 계급각성과 이념지향
3) 저항의 방법과 공간적 배경의 이동
4) 계급에 대한 저항-투쟁 소년
3. 인간성 탐구와 ‘보편적 소년’
1) 화해 지향의 세계인식
2) 입사식(initiation)의 시도
3) 삶의 총체성과 사회화
4) 내면화된 현실의 갈등-보편적 소년
제5장 마무리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