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미술사를 분야별로 서술해 한국 미술사가 어렵다는 편견을 깼다. 독자는 회화·조각·도자·건축·공예 가운데 관심 있는 분야에 바로 빠져들면 된다. 특정 분야의 시대적 변천에 따라 미술품에 관련된 재미난 이야기가 파노라마처럼 펼쳐진다.
목차
머리말
4장 한국 건축사와 탑 문화 1 최초의 건축물, 움집을 짓다 | 선사 시대 건축 2 궁궐과 불교 건축이 발달하다 | 삼국 시대 건축 3 신라와 고구려의 건축술을 계승하다 | 남북국 시대 건축 4 귀족적인 불교 건축이 완성되다 | 고려 시대 건축 5 가장 한국적인 건축 양식을 이루다 | 조선 시대 건축 6 일본과 서양의 건축이 섞이다| 근대 건축 7 기능성과 예술성을 두루 갖추다 | 현대 건축
5장 한국 공예사 1 삶과 멋의 시작 | 선사 시대 공예 2 “황금의 나라여, 영원하라!” | 삼국 시대 공예 3 불교 의식을 위한 공예품 | 남북국 시대 공예 4 아름다움을 공양하다 | 고려 시대 공예 5 단아하고 은근한 멋 | 조선 시대 공예 6 역사의 숨결이 서리다 | 근대 공예 7 전통과 예술을 접목하다 | 현대 공예
6장 한국의 아름다움
서가브라우징
한국 현대미술의 지형도 = (A) topographic map of Korean contemporary art2014 / 박영택 지음 / Humanist(휴머니스트 출판그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