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1장 왕양명의 삶과 사상
1. 성인(聖人))을 꿈꾸던 소년 시절
2. 성인을 향한 방황과 좌절
3. 용장 유배 - 심즉리와 지행합일을 설하다
4. 정좌에서 성찰극치로
5. 백성의 고통을 어루만지고 보살피다
6. 치양지(致良知)를 설하다
7. 내 마음이 광명한데 또 무슨 말을 하겠느냐?
2장 『전습록』이란 어떤 책인가?
1. 『전습록』의 편찬 과정과 책명
2. 『전습록』의 구성과 내용
3장 천지만물일체의 우주론
1. 자기-조직하는 우주자연
2. 우주자연의 중추인 인간
3. 인간과 우주자연의 호혜적 관계
4장 마음이 곧 이치라는 이론
1. 성인(聖人)은 천리(天理)를 실현한 사람
2. 마음이 곧 천리
3. 마음이 곧 본성
4. 실천 조리를 창출하는 마음
5. 마음을 바르게 하는 격물(格物)
5장 양지론 1 - 양지의 생명 창출
1. 양지의 보편성과 선천성
2. 감응 주체인 양지
3. 양지의 창출성
6장 양지론 2 - 양지의 유기적 생명성
1. 생명의 온전성에 대한 시비준칙
2. 영명한 자각성과 항동성
3. 수시변역성(隨時變易性)
7장 양지 실현의 필요성과 그 의미
1. 사욕이란?
2. 사욕의 폐단
3. 치양지(致良知)의 의미
8장 지행합일과 양지 실현
1. 지와 행은 둘이 아니다
2. 지행합일과 양지 실현
3. 학행합일과 양지 실현
9장 양지 실현의 다양한 실천 방안
1. 사상마련(事上磨鍊)을 통한 양지 실현
2. 집의(集義)를 통한 양지 실현
3. 필유사언(必有事焉)을 통한 양지 실현
10장 양지 실현의 최후 경계
1. 스스로 만족함의 경지
2. 참된 즐거움의 경계
11장 대동사회와 친민정치론
1. 만물일체의 유기체적 대동사회
2. 대동사회의 유기체적 특성
3. 공리(功利) 정치에서 친민 정치로
4. 친민 정치를 통한 대동사회 구현
12장 양지 실현의 교육론
1. 교육의 목적과 입지
2. 입지와 양지 실현
3. 재능과 덕성을 일치시키는 교육
4. 능동성 자율성 창의성 증진의 교육
5. 배움과 실천의 합일 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