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을 대신하여 : 회상과 감사 / 김상봉
서론: 홀로주체성의 섬에서 서로주체성의 숲으로: 김상봉 철학의 여정 / 고명섭
제1부 주체 ― 철학의 첫걸음
물음의 시작
마르크스와의 만남
정치를 버리고 철학을
고전어와의 만남
칸트의 『최후 유작』
나는 임신한다. 그러므로 나는 존재한다
자기의식과 존재사유
개인과 주체 그리고 시민
표현과 실현의 일치인 진리
『나르시스의 꿈』과 탈식민주의의 문제
서양적 자유의 이념에 대하여
홀로주체성과 서로주체성 사이에서
숭고와 해탈
호메로스, 서양 정신의 시원
그리스 종교의 고유성
서양 정신과 음악의 문제
법의 홀로주체성
철학의 지역성과 보편성
자기상실의 여러 양상에 대하여
보는 것과 듣는 것
서로주체성의 이념
제2부 만남 ― 철학의 심화
서로주체성, 이념인가 현실인가
기독교와 서양 정신의 홀로주체성
방법론적 개인주의에 대하여
공동체에 대한 오해, 차이와 타자성에 대한 집착
지난 20년의 지적 상황에 대하여
차이의 철학에 대하여
언어와 철학
언어와 존재이해
언어와 주체
한국어와 주체성
국가와 서로주체성
만남의 상처
기쁨의 철학과 슬픔의 철학
서로주체성의 관점에서 본 쾌락과 기쁨
감정 또는 감성의 문제
빚지고 있음과 긍지
철학과 교양의 관계
인문학과 총체성의 문제
만남의 총체성을 위하여
관점주의와 진리 그리고 만남
제3부 공동체 ― 철학의 전개
근현대 민중항쟁사의 정점인 5ㆍ18
5ㆍ18에 대한 기존의 연구들에 대하여
사건의 초월성과 눈물의 직접성 사이에서
권리에서 만남으로
5ㆍ18의 소박성?
사랑의 정치학
하늘나라의 계시
국가의 폭력과 시민의 폭력에 대하여
주권폭력에 대하여
호남 차별
남북통일과 민족주의
근대적 국민국가를 넘어서
동일성의 국가를 넘어서
타자에 대한 응답 속에서 생성되는 주체성
주권의 분할과 주권의 서로주체성
『기업은 누구의 것인가』―책의 내력
노동자 경영권
주주자본주의
총수자본주의
주식회사의 소유권과 노동자 경영권
독일의 노사 공동결정제도
시장과 전장
학벌사회 ― 절망과 희망 사이에서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