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프로이트 이론과 융 분석심리학 이론, 그리고 현대 정신분석 이론을 종합해서 한중일 신화뿐 아니라 전세계 민족 신화를 해석한 국내 첫 저서이다. 특히 한중일 신화에 반영된 무의식의 유형들을 정신분석적 관점에서 분석, 정리한 것은 저자의 독창적인 시도로 평가된다.
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서문
1부 신화 해석을 위한 기본 조건
1장 신화 해석을 위한 정신분석의 기초
1. 신화에 대한 정신분석학의 연구 동향
2. 신화에 반영된 무의식의 유형들
3. 신화적 사고
4. 영웅신화 해석의 초점과 기본 틀 : 정신 발달의 중요 요소들
5. 마무리하며
2부 신화에 대한 정신분석
1장 한국 신화
1. 창세신화 : 한국인의 시원
2. 환인, 환웅, 웅녀, 단군 : 한국민족의 최초 이상화 대상들
3. 주몽 : 마마보이가 건국 영웅되다
4. 바리데기 : 버림받은 영혼이 치유자로 변환되는 과정
2장 중국 신화
1. 창세신 : 거인 반고
2. 예 : 반복되는 불행의 원인과 의미
3. 어진 왕 순 : 거짓자기가 참자기로 변하기 위한 조건
3장 일본 신화
1. 창세신 이자나기와 이자나미 : 성교, 창조, 죽음, 다툼, 분리, 단독 창조
2. ‘폭풍의 신’ 스사노오 : 반사회적 성격의 치유 과정
3. 오쿠니누시 : 힘없는 겁쟁이가 국가의 주인으로 성장하는 과정
4장 수메르 신화
1. 길가메시 : 오만한 자가 현자로 변하는 과정
5장 이집트 신화
1. 오시리스, 이시스, 호루스 : 죽음에서 부활에 이르는 길
6장 그리스 신화
1. 그리스의 창세신화 : 왕 살해의 전형
2. 오이디푸스 : 운명을 벗어나려는 투쟁
3. 페르세우스 : 어머니의 마력에서 벗어나 주체가 되기 위한 조건
4. 테세우스 : 미궁에 들어가 괴물과 싸우기
5. 헤라클레스 : 모성 박탈이 심한 자의 운명
6. 에로스와 프시케 : 사랑과 영혼이 조화되기 위한 조건
7. 나르키소스와 에코
7장 북유럽 신화
1. 발데르 : 빛의 신이 죽어야 하는 이유
3부 신화에 반영된 민족무의식 비교
1장 신화에 반영된 민족무의식 비교
1. 창세신화 : 민족 간 최초 정신성 비교
2. 영웅신화 : 민족 간 콤플렉스 유형 비교
맺는말
미주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