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발간사(發刊辭)
제6판 서문
감사의 말
저자소개
번역진소개
제1장 서론
1. 윤리란 무엇인가?
2. 책임과 역할
3. 책임있는 행정인
4. 설계적 접근방법
5. 책 내용의 개관
6. 결론
제2장 윤리적 의사결정의 이해
1. 윤리적 문제
2. 능동적 과정으로서 윤리
1) 윤리적 성찰의 수준
2) 역동적 과정
3) 준거틀의 사용
3. 윤리적 의사결정의 기술모형: 있는 그대로의 세계
4. 윤리적 의사결정의 처방모형: 우리가 바라는 세계
1) 기술(記述)의 과제
2) 윤리적 쟁점 정의하기
3) 대안적 행동방침을 확인하기
4) 개연성이 있는 결과를 투영하기
5) 부합관계 찾기
6) 모형사용의 이점
7) 결정의 집행: 설계적 접근방법
5. 결론
제1부 개별 행정인을 위한 윤리
제3장 근대사회와 탈근대사회의 행정: 행정윤리의 맥락
1. 탈근대 세계에서의 근대성의 문제
1) 우리 삶의 대부분에 과학적 원리를 적용하려는 시도
2) 역할의 다중성과 분화
3) 업무와 사생활의 분리에서 혼합으로
4) 상대주의
5) 사회의 다원화
2. 근대화의 행정적 함의
1) 행정의 정치적 성격
2) 행정역할과 시민역할의 분리
3) 다양성을 겸비한 관리자
3. 정치이론과 행정윤리
1) 대의
2) 교육
3) 집행
4. 결론
제4장 행정의 책임성: 행정윤리의 열쇠
1. 객관적 책임
1) 법의 지지를 통한 선출직 공직자에 대한 책임
2) 상사와 부하직원에 대한 책임
3) 시민에 대한 책임
2. 주관적 책임
3. “카마이클 부인을 어떻게 할 것인가”
4. 결론
제5장 책임의 충돌: 윤리적 딜레마
1. 권위의 충돌 “소령, 대위 및 몬테규 상병”
2. 역할의 충돌
1) 내부역할 대 외부역할: “정치와 화장실”
2) 내부역할 대 내부역할: “봉급인상 또는 불만제기”
3. 이해관계의 충돌
1) 뇌물수수
2) 지위남용
3) 정부유출
4) 금융거래
5) 선물과 향응
6) 선물과 향응
7) 미래취업
8) 친척과의 거래
4. 공중의 신뢰유지
5. 결론
제2부 조직 내 윤리
제6장 공공조직 내의 책임있는 행동유지: 두 접근방법
1. 상황적 맥락
2. 내적 통제와 외적 통제
1) “미봉책”
2) 외적 통제
3) “미봉책‘과 외적 통제
4) 윤리입법의 찬성과 반대
5) 윤리강령의 찬성과 반대
6) 내적 통제
7) “미봉책‘과 내적 통제
8) 내적 통제에 관한 찬성과 반대
3. 결론
제7장 윤리와 조직규범 그리고 조직구조의 통합
1. 내적 통제와 외적 통제 수단 간의 갈등
1) “법집행에 있어서의 성적 정향”
2) “자연사”
3) 정책목표와의 부합관계
2. 책임있는 행동의 구성요소
1) 개인특성
2) 조직구조
3) 극단적인 예: 방관자 효과
4) 조직문화
5) 사회적 기대
6) 핵심적 관계
3. “미봉책”에 대한 조명
4. 결론
제8장 조직 내 윤리적 자율성 보호하기: 비윤리적 상사와 조직에 대한 대처
1. 상사에 대한 책임
1) 갈등을 초래하는 충성의 사례
2) 내부 고발의 결과
2. 조직압력의 근원: 팀 플레이어 윤리
1) 정치적 압력
2) 팀 플레이어 윤리
3) 대리인으로의 전환
3. 조직차원의 해결책
4. 개인적 책임
1) 뉘른베르크 원칙
2) 최우의 보루
5. 조직 내에서 개인의 윤리적 자율성
1) 조직지배의 문제
2) 조직의 한계와 초월
3) 직장의 권리장전
6. 개인적 자율성의 구성요소
1) 지각의 윤리
2) 조직충성의 한계점에서 역할평가
7. 결론
제3부 설계적 접근방법
제9장 행정윤리에 대한 설계적 접근방법의 적용
1. 행정윤리에 대한 설계적 접근방법
2. 일반적 적용
3. 구체적 적용 “정실주의에 치우친 계약자”
4. 결론
제10장 결론: 책임행정
1. 책임있는 행정인
2. 책임있는 행정의 모형
참고문헌
옮긴이 해제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