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평화교육위원회 양조훈 위원장의 <4.3 그 진실을 찾아서>. 국가권력에 의해 어둠 속에 갇혔던 4.3이 어떤 과정을 거쳐 빛 속으로 걸어 나오게 되었는가를, 그 고비마다의 히스토리와 비하인드 스토리를 때로는 생중계하듯 박력 있게, 때로는 정담을 나누듯 조곤조곤 들려준다.
목차
1부 억압 속의 진실규명 4·3취재반 출범 진상규명하다 구속된 사람들 「4·3의 증언」 연재 확산되는 4·3진영 ‘4·28 협상’과 ‘오라리 방화’ 추적기 김익렬, 유고로 말하다 「4·3은 말한다」로 다시 출발 공안정국과 ‘공산폭동론’ 추적기 겉과 속이 다른 미군 정보보고서 결국 밝혀진 4·3 발발원인 다랑쉬굴 유해 취재 4·3규명에 앞장선 예술인들 도의회 4·3특위, 그리고 정치권 활동 화제의 책 『4·3은 말한다』 ‘대만 2·28사건’과 외신 보도 ‘불법 계엄령’ 논쟁과 송사 4·3 50주년, 진실규명 급물살 ‘국민의 정부’ 출범과 4·3 해직과 4·3연재 중단
2부 가열된 4·3특별법 쟁취운동 닻 올린 특별법 쟁취운동 거리로 나선 4·3운동 4·3연대회의 출범 특별법 제정 촉구 상경 투쟁 특별법 국회 통과와 축하 행사
3부 4·3, 이념누명을 벗다 시행령 파동과 위원회 구성 논란 진상조사에 착수하다 강성 유족회의 등장 진통 겪은 진상조사보고서 심의 진상조사보고서 최종 확정까지 대통령 4·3희생 사과 산통 겪고 발간된 진상조사보고서 4·3수형자 희생자 인정받다
4부 보수진영의 끈질긴 훼방 4·3특별법과 진상보고서 통째 부정 국방부 「6·25전쟁사」 파동 MB정부 ‘과거사 해체’ 시도 4·3평화기념관 개관 저지 전말 보수단체 소송 줄줄이 패소
5부 역사화 작업과 화해의 길 ‘세계평화의 섬’ 선포 역사화 작업과 4·3특별법 개정 활주로 터에서 쏟아진 4·3유해 4·3평화재단 출범 난항 유족회와 경우회의 화해 ‘4·3’ 국가기념일 되다 세계가 주목하는 4·3규명 역사 4·3영령과의 만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