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프롤로그- 왜 농촌 기업起業가 인가
제1장 「우선 시작하세요」의 철칙 -농촌 창업의 전야-
1. 마음먹은 날이 창업일이다
마음 먹은 날이 길일(吉日)
모든 가능성을 찾아라
2. 농촌창업이란 무엇인가
농촌자원의 활용
소셜 비즈니스의 관점
다양한 스타일
3. 5가지 장으로 살펴본 농촌창업의 소재
➀ 농업의 6차 산업화
➁ 농촌의 관광교류
➂ 삼림자원의 활용
➃ 자연에너지 활용
➄ 소프트산업과의 연계
4. 현장을 발견하는 방법·연결하는 방법
다루고 싶은 농촌자원을 정해서 지역을 선택
협력자, 지원자가 있는 지역을 선택
농촌지역에 대해 좀 더 알아보기
5. 농촌창업을 시작하는 2가지 방법에 대해서
농촌발창업과 도시발창업
U턴, I턴, J턴
통근형, 2지역거주 패턴
6. 농촌창업의 목적·목표는 무엇인가?
개인이 살아야 지역이 산다
칼럼_농촌창업에 맞는 사람은 누구인가?
제2장 「즐겁고 작은 모델을 만들어 계속 알리세요」의 철칙 -농촌창업의 준비기-
1. 선배모델 익히기
자비출판으로 책을 낸 시만토 도라마(四万十ドラマ)
작은 포장마차에서 시작한 ‘고교생 레스토랑’
2. 사업모델을 만드는 방법
크게 시작하면 실패한다
즐거우면 주위를 끌어들일 수 있다
모두 함께 아이디어를 내보자
아이디어를 선별하자
3. 농촌창업을 어필(appeal)하는 방법
‘계속 하는 것’이 중요하다
3가지의 어필방법
무엇이든 좋으니 ‘1등’을 목표로!
틀을 만들어 어필(appeal) 하세요
칼럼_버리는 신(神)이 있으면 줍는 신(神)도 있다
제3장 「서있는 사람은 부모라도 일을 시키세요」의 철칙 -농촌창업의 확장기-
1. 동료를 모아라
처음은 가족의 동의에서
노인, 청년에게 다가가라
2. 네트워크를 만들어라
왜 네트워크가 필요한가
경영자원을 모으기 쉬워진다
3. 자금조달은 어떻게?
소셜 비즈니스의 5가지 지갑
행정의 보조금·지역금융기관의 융자
4. 자원을 조달하는 방법
농지를 조달한다
삼림을 조달한다
빈집의 활용
시설·설비·기계를 조달한다
법인격의 선택방법
칼럼_활용되지 않는 농촌자원
제4장 「일석이조(一石二鳥), 일거양득(一擧兩得)」의 철칙 -농촌창업의 성장기-
1. 효과적인 이벤트 연출법
이벤트 푸어를 조심할 것
관건은 서플라이 체인의 틀 만들기
아무도 서플라이 체인을 보지 않고 있다
2. 이벤트를 서플라이 체인 만들기에 활용
우선 서플라이 체인의 약점을 찾는다
워크숍에서 사람, 조직의 연결고리가 만들어진다
이벤트 후 서플라이 체인의 틀을 남길 것인가
3. B to C 채널, B to B 채널을 구별할 것
개인과 기업의 차이
구입동기를 확인하라
개인의 소비재를 살 때의 4가지 요소
기업은 경기동향·경영전략·사업계획이 좌우한다
칼럼_무엇보다도 인재육성
제5장 「썩어도 준치」의 철칙 -농촌 기업의 마음가짐-
1. 농촌창업은 3년의 전망을 세워라
참고 기다리면 복이 온다
질투현상을 주의할 것
문호를 넓히는 기회
2. ‘우리 마을의 자랑’이 될 때까지 계속하라
지역 사람들이 내 일처럼 자랑하기 시작한다
3년 해서 안 되면 다시 생각할 것
3. 기업가 정신을 높여라
문제의식
당사자의식
목표의식
4. ‘성공스토리’에 자신을 맞춰보라
여행을 떠나는 의식을 치르자
동료와의 체험공유가 중요
시련의 시기에 필요한 멘토
탈피의 시기에도 후원자가 필요
칼럼_샐러리맨 근성을 버려라
제6장 「원초적 두뇌를 사용해 두각을 나타내라」의 철칙 -농촌 기업의 사고법-
1. 8가지 사고법
가설사고
구체사고
수치사고
트라이얼 사고
포트폴리오 사고
시스템 사고
음양사고
인과사고
2. 효과적인 리서치 방법
1차 조사
히어링
워크숍
필드워크
시장조사
3. 원초적 두뇌를 활용해 적극적으로 프레젠테이션 제안하라
프레젠테이션 자료의 구성
제품·서비스의 독자가치를 설명
조직과 계획을 ‘보이도록’
마지막으로 무엇을 써야 되는가
4. 농촌기업가의 궁극적인 6가지 스킬
농촌현장의 경험과 지식
플래닝
매니지먼트
커뮤니케이션
시장의 지식·동향
사회·정책의 동향
칼럼_농촌창업 “업자”를 조심하라
에필로그- 마지막으로, 세계에 퍼져가는 농촌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