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역자 서문
저자 서문
제1부 이론적 배경
1장 학업에서의 미루기: 개관
행동으로서의 미루기
성격 특성으로서의 미루기
행동의 근원으로서의 성격 특성
자기 조절 영역에서 자기통제 결핍으로서의 미루기 특성
학생 집단에서 나타나는 학업 미루기의 발생률과 기초선
다양한 상황에서의 미루기
미루기: 유형 탐색
결론
2장 학습에서 나타나는 미루기의 특성: 공부를 자꾸 미루는 학생에 대한 개관
학습에서 기질적으로 자주 미루는 사람의 특성과 원인
학생들이 언제 학업 특성 미루기를 경험하는지 예측하기
학업에서의 미루기: 변명의 사용
기질적 학업 미루기의 교육적 함의
결론
3장 학업에서의 미루기와 5요인 성격 모델: 메타분석 결과
방법
결과
논의
한계
상담에서의 시사점
〈부록〉 메타분석에 포함된 연구
제2부 개입 방법
4장 미루기 상담의 기본 요소
상담 대상 집단
호소 문제
중재의 전반적인 목표
프로그램의 세부 사항
프로그램의 성과
5장 미루는 학생을 위한 자기 관리 프로그램
맥락과 구성
자기 관리 프로그램의 목표
자기 관리 프로그램의 내용과 과정
프로그램 지속 기간
프로그램의 효과
연구 결과의 일반적 견해
결론
6장 미루기로 이끄는 무기력 패턴 극복하기
상담 모형
참가자
회기
결론 및 논의
7장 대학생의 미루기 감소를 위한 행동 중재
성취 전략: 웹 기반 코스
과제 관리 집단
결론
8장 학업 상황 내 미루기 집단 치료의 인지행동적 접근
미루기 훈련의 목표 집단
학생상담센터 이용
개입 목적
이론적 배경
프로그램 절차
프로그램 평가
참여 집단의 특징
훈련 프로그램 평가
개입 프로그램의 문제점
재발 방지
결론
9장 건설적 직면: 미루기 부진 학생에 대한 인지행동치료
학업을 미루는 사람의 특징
정확한 평가: 상담으로의 연계
건설적 직면과 학업을 미루는 사람
직면적 인지행동치료의 단계
학생과 상담자의 변화
연구 결과
10장 학업 장면에서 미루는 사람에 대한 디지털 코칭
Study Support 웹사이트: 용도와 사용자
디지털(웹 기반) 코칭 모델
11장 학업 미루기와 개입 프로젝트: 분석의 관점
능동심리학과 인지: 동기 측정 단위
개별 프로젝트 분석
상담 대상 및 내담자 접촉 절차
상담 프로그램 개관과 목표
중재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물 개관
중재 프로그램 실시 개요
성공적 개입의 증거
결론과 시사점
추후 고려 사항
12장 학업 미루기에 대한 내러티브 접근
미루기에 대한 내러티브 접근
13장 완벽주의로 인해 미루는 사람에 대한 기술과 상담
완벽주의로 인해 미루는 사람들
다차원적인 시각에서 바라본 완벽주의적 미루기
미루기와 인지적 관점에서의 완벽주의
완벽주의적인 미루기 상담이 직면하는 도전
결론
제3부 에필로그
14장 미루기 상담
미루기 문제에 대한 관점
더욱 포괄적인 관점을 향하여
이상적인 중재 프로그램
결론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