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저자서문
제1장. 국가의 성격과 글로벌화의 구조적 관계
1절. 현재의 미국을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가
미국 ‘제국’의 여러 모습
글로벌화와 국제정세의 구조적 변용
미국과 세계를 하나로 만드는 다국적 관계
2절. 국가 성격의 형성과 발전
공화국의 성립과 발전
제국으로의 발전
3절. 글로벌화의 연습
건국과 글로벌화의 배경
광역시장 발전의 경제적 기반
현대문명의 형성과 국제적 보급
4절. 미국의 패권과 대통령중심제
패권의 네 가지 형태
넓은 의미의 포퓔리슴과 그 유형
대통령 정치의 변용과 포퓔리슴의 일상화
포퓔리슴의 대통령선거 진출
제2장. 태평양세계의 형성과 동아시아의 민주화
1절. 태평양세계의 형성
미국의 국가적 변용
동아시아 정책의 전개
민족 정체성 재편의 움직임
동아시아 국가와의 관계 다변화
2절. 초국가적 정치공간과 민주화세력의 대두
초국가적 정치공간의 형성과 전개
반체제 및 야당세력의 확대와 미국
미국 언론의 역할
3절. 정치체제의 변용과 민주화
체제세력의 후퇴와 양보
국민당의 민주화 노선 전환
3개국의 민주화와 미국과의 초국가적 관계
제3장. 미국의 글로벌화와 제국주의
1절. 냉전 후 패권과 미국의 글로벌화
냉전 후의 안전보장정책
미국 경제의 부흥과 글로벌화의 문제점
‘문화전쟁’과 미국 사회의 글로벌화
부시 정권과 레이건혁명의 계승
2절. 9·11테러와 ‘세계 제국’의 좌절
‘테러와의 전쟁’ 시작
이라크 해방 방침과 국제질서 구축의 사명감
이라크전쟁의 개전 ‘논리’
‘테러와의 전쟁’과 미국 내 지지기반
테러가 문명에 남긴 과제
제4장. 오바마 대통령의 등장과 패권의 재편
미국 정치사 전환기와 대통령의 리더십
오바마 대통령의 출마 배경과 오바마 정권의 기본 방침
미국 패권의 재편
역자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