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들의 한국 전적지 답사기. 우리 역사 속에서 중요했던 전쟁의 전적지를 찾아 살펴보고 여기서 얻은 정보를 남아 있는 역사기록들과 비교분석하여 현지에서 벌어졌던 전투를 재구성하였다. 저자가 직접 찍은 사진을 다수 수록하여 현장감을 생생하게 전달하고 있다.
목차
들어가면서
1. 매도된 전쟁 - 황산벌과 백강 전투 기본적인 사실부터 왜곡된 전쟁 기벌포 지역의 구조와 장항 자리 잡고 있었으면서도 상륙을 막지 못한 이유 뻘이 발목을 잡아 줄 것이다. 그러나…… 양도(良圖)의 지략 황산벌의 백제군은 백강 전투에 합류했었다! 주목하지 않았던 전략 거점, 강경 황산벌이 황산성? 황산벌은 어디였을까? 황산벌 전투 맺으면서
2. 처인성 전투의 미스터리 들어가면서 처인성에서 전투가 벌어졌을까? 처인성 전투는 어떤 형태였을까?
3. 실책인가? 중과부적인가? ‘탄금대 전투’ 임진왜란과 ‘탄금대 전투’ 조령에서 막아야 했다? 신립은 일본군을 어떻게 막으려 했을까? 전투가 벌어진 곳이 탄금대? 전투는 어떻게 전개되었을까? 결말
4. 신앙으로 치른 전투 - 우금치 들어가면서 최초의 집결지 - 초포 2차 집결지 - 노성 분진점 - 경천과 널치 공방의 요충지 - 효포 주전장 - 우금치 또 다른 격전지 - 이인 맺으면서
5. 상식을 뛰어넘은 선전, 춘천-홍천 전투 춘천-홍천 전투 왜 주목할까? 최초의 교전 - 참극의 현장들 북한의 침공계획과 최초의 저항 육탄공격과 가래모기 전투 하루를 더 끌고 소양강을 방패삼아 옥의 티 - 소양 1교(당시 소양교)를 둘러싼 격전 홍천 말고개 전투 정리해 보면
부록 - 방어시설로서의 수원화성 구조와 의문들 수원화성(水原華城)의 미스터리들 화성의 정문 - 장안문(長安門) 총안구의 미스터리 미석과 남쪽으로 가면서 낮아지는 성벽 화서문의 문제점 사소한 특징들 정리하면서
책을 맺으면서
서가브라우징
한국사 이야기 = History of Korea. 8:, 개혁의 실패와 역성혁명1999 / 이이화 지음 / 한길사
간신의 민낯 : 조선의 국정농단자들2017 / 지음: 이정근 / 청년정신
위험한 역사 시간 : 우리 역사를 외면하는 한국사 교과서의 실체를 밝힌다2015 / 이주한 지음 / 인문서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