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유럽중심주의를 벗어난 유럽사. 유럽은 어떻게 세계의 중심이 되었을까? 왜 아시아가 아니라, 왜 인도나 이슬람 세계가 아니라, 하필이면 유럽인가? 이 책은 이러한 질문에 대한 답을 보여 준다. 역사의 흐름을 흥미롭게 따라가면서도 가장 최근에 이르기까지 역사학과 인접 학문이 성취한 학문적 성과를 반영하는 동시에 역사적 사실에 충실히 따르고 있는 역작.
목차
머리말
서문 지구: 전 지구적 관점
1장 1500년경의 유럽: 부富동양에 있던 시기
유라시아의 기후, 토지 그리고 농업 지역: 부의 첫 번째 열쇠로서 농업 생산성
환경을 조성하고 시장성 있는 제품을 창조한 기술
수수께끼 같은 유럽의 등장
2장 세계사의 변화 패턴
변화는 아시아와 유럽에서 달랐나?
기후변화, 질병 그리고 장기적 역사 주기
물가, 인구, 도시화 그리고 소득에서의 패턴
1800년 이전의 기술 변화의 장기적 패턴과 전 지구적 패턴
변화냐 혁명이냐? 1800년 이전의 농업 변화와 산업 변화
3장 세계종교와 사회 변화
추축 시대와 구원의 종교
세속 규율과 신성 규율: 종교와 제국의 충돌
종교와 경제적 성장: 전통적인 이론
종교와 경제적 발전: 보다 면밀한 검토
관용 혹은 정통 신앙: 성장을 위한 무역 안정성
4장 교역과 정복
1500년경 포르투갈의 유라시아 교역 참여
1500년-1700년 사이에 아시아와 아프리카에서의 유럽 강대국들
1700~1800년 사이 유럽의 아시아·아프리카 관계: 역전 시도
1500~1600년 사이 신세계의 유럽 강대국: 스페인의 정복
세계사를 바꾼 두 명의 여성: 스페인의 이사벨라와 멕시코의 말린체
1600~1800년 사이 신세계의 유럽 강대국들: 정착과 노예제도
1800년 이후 유럽의 지배권
제국주의의 대가와 경제성장의 난제
5장 가족과 생활수준
결혼과 가족생활
기대 수명과 신장
임금, 소득 그리고 소비
도시 생활과 농촌 생활에서의 생산성
농업생산성은 어떻게 향상되는가?
산업혁명과 실질임금
결론: 서양은 다양했으며 늘 동양보다 부유하지는 않았다
6장 국가, 법, 세금 그리고 혁명
유럽 국가들은 아시아 제국들보다 군사력이 강했고, 종교적 경쟁이 치열했는가
유럽과 아시아에서 혁명과 반란의 순환
법과 세금 그리고 사업체
관용과 다원주의 대 국가에서 강요하는 정통 신앙
7장 속도의 변화: 산업혁명은 있었는가
산업 성장의 원동력으로서 혁신
공장들이 중요한 혁신인가
산업혁명은 과학적 발전과 관련성을 가지는가
혁신의 문화
8장 아시아와 유럽에서 과학의 궤도
1500년 이전 세계의 과학과 이슬람의 성과
과학의 궤도: 진보에서 정체까지
세계 과학의 다양성과 자연을 이해하기 위한 서로 다른 접근 방식들
유럽의 특이한 궤도: 고전적 전통의 수용 탈피, 1500~1650년
결론: 과학의 궤도와 산업화의 퍼즐
결론_ 서양의 등장: 일시적 국면인가
증기의 시대로부터 우주 시대까지: 근대적 군산 복합 사회의 등장
근대적 경제성장의 기초
근대적 경제성장의 장애물
실현되어 가는 비유럽의 등장
주석
옮긴이 후기
찾아보기